유두절에 먹는 음식

유두절에 먹는 음식

[ 流頭節食 ]

요약 유두절인 음력 6월 보름날에 특별히 만들어 먹는 음식.

음력 6월 15일을 이르는 명절로, 유둣날 또는 유두일이라고도 한다. 신라 때 성행하던 풍속의 하나이며, 유두절이 되면 선비들은 동(東)으로 흐르는 맑은 개울에서 미역을 감고 재앙을 푼 다음 음식을 차려서 풍월을 읊고, 부인들은 약수를 찾아가 머리를 감고 물맞이를 하며 놋솥에 밥을 지어 제를 드렸다고 한다. 이를 유두잔치라 했는데, 유두잔치를 하면 여름에 질병을 물리치고 더위를 먹지 않는다 믿었다. 농촌에서는 용신제(龍神祭) 또는 밭제를 지내 풍농을 기원하였는데 유두절에 지낸다 하여 유두제라고도 하여, 밀가루로 만든 국수나 밀전병, 참외 등의 햇과일, 생선 등의 음식을 논의 물꼬나 밭 가운데에 차리고 농신에게 풍년을 기원하는 고사를 지냈고, 고사 후에는 제 소유의 논이나 밭에 음식을 묻혀 제를 마쳤다. 고사에 쓰이는 음식은 지역에 따라 차이를 보여, 전북지역에서는 논둑 밑이나 물꼬에 찰떡을 놓아 제를 지냈는데, 찰떡 대신 밀떡이나 송편으로 고사를 지내기도 했고 고사를 마친 후에는 유두알이라 부르며 동네 아이들이 먹었다. 경북지역에서는 차노치, 시루떡, 호박전 등의 전 종류를 올려 고사를 지냈으며, 경북 안동에서는 유두절 아침에 국수를 만들어 수박 밭고랑에 뿌리고 수제비를 참외밭에 뿌렸는데, 고사 후에 비가 오면 풍년이 든다 하였다.

이날 차리는 유두절식으로는 증편·편수·떡수단·상화병(箱花餠)·보리수단·건단(乾團)·화전·호박밀전병·시루떡·호박전·송편·유두면(流頭麵)·맨드라미전·참외 등이 있다. 이중 대표적인 유두절식인 유두면은 참밀의 누룩으로 만들 경우에는 유두국(流頭麯)이라고도 하였다. 유두절에 유두면을 만들어 먹으면 더위를 먹지 않고 장수한다고 믿었다. 강원도 속초에서는 유두면이나 부침 반죽에 고추장을 풀어 만든 장떡을 먹으면 더위를 피한다고 하였다.

유두면

유둣날에 먹는 유두절식 중 하나로 햇밀가루를 반죽하여 먹는 국수이다.

유두절에 먹는 음식 본문 이미지 1

수단

멥쌀가루로 흰떡을 쳐서 잘게 썬 것에 녹말가루를 묻혀 찬물에 헹구어 꿀이나 오미자물에 띄워 먹는 한국 고유의 화채.

유두절에 먹는 음식 본문 이미지 2

편수

야채를 넣고 만든 만두.

유두절에 먹는 음식 본문 이미지 3

밀쌈

밀전병을 얇게 부쳐서 오이, 버섯, 고기 등을 채 썰어 볶아 넣거나 깨를 꿀로 버무려 소를 만들어 넣고 밀전병으로 말아 놓은 떡.

유두절에 먹는 음식 본문 이미지 4

상화병

유두(流頭)날 만들어 먹는 밀가루떡.

유두절에 먹는 음식 본문 이미지 5

화전

찹쌀가루 반죽을 둥글고 납작하게 빚어서 기름에 지져내는 떡으로 계절에 따라 다양한 꽃을 고명으로 얹는다.

유두절에 먹는 음식 본문 이미지 6

역참조항목

보리수단, 유두면

카테고리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