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요약 고려시대 종3품~정9품의 관직.

정원 1~4명이었고, 주로 중앙의 각 관청에서 실무를 담당하였다. 고려 전기에는 종3품으로 상서도성(尙書都省)에 좌 ·우승 각 1명, 종5품으로 비서성(99965 書省) ·전중성(殿中省)에 각 2명, 정6품으로 동궁관(東宮官)에 1명, 종6품으로 국자감(國子監) ·대복시(大僕寺)에 각 1명, 위위시(衛尉寺) ·예빈성(禮賓省) ·대부시(大府寺) ·소부감(小府監) ·장작감(將作監) ·사재시(司宰寺) ·사천대(司天臺) ·태의감(太醫監)에 각 2명, 정7품으로 군기감(軍器監) ·태묘서(太廟署)에 각 2명, 종7품으로 태사국(太史局)에 1명, 제능서(諸陵署)에 2명, 정8품으로 중상서(中尙署) ·경시서(京市署) ·장야서(掌冶署)에 각 2명, 종8품으로 대악서(大樂署) ·내원서(內園署) ·공역서(供驛署) ·전구서(典廐署)에 각 2명, 대관서(大官署) ·대창서(大倉署)에 각 4명, 정9품으로 장생서(掌牲署) ·도염서(都染署) ·잡직서(雜織署) ·사의서(司儀署) ·전옥서(典獄署)에 각 2명, 도교서(都校署)에 2명, 수궁서(守宮署)에 3명, 양온서(良醞署)에 4명을 설치하였으며, 품계를 알 수 없지만 대영서(大盈署)에 2명을 설치하였다.

고려 후기에는 봉상시(奉常寺) ·종정시(宗正寺) ·비서감(99965 書監) ·세자첨사부 ·제비주부(諸妃主府) ·위위시 ·전객시(典客寺) ·외부시(外府寺) ·내부감(內府監) ·선공감(繕工監) ·사진감(司津監) ·전교서(典校署) ·선공사(繕工司) ·성균관(成均館) ·전의시(典儀寺) ·서운관(書雲觀) ·사의서(司醫署) ·사복시(司僕寺) ·전객시 ·내부사(內府司) ·도진사(都津司) ·사온서(司醞署) ·사설서(司設署) ·내알사(內謁司) ·사선서(司膳署) ·풍저창(豊儲倉) ·광흥창(廣興倉) ·상적창(常積倉) ·제용사(濟用司) ·침원서(寢園署) ·경시서 ·선관서(膳官署) ·내원서 ·전악서(典樂署) ·사의서(司儀署) ·의성창(義成倉) ·덕천창(德泉倉) ·유비창(有備倉) ·종부시(宗簿寺) ·전교시(典校寺) ·내부시(內府寺) ·소부시(小府寺) ·선공시(繕工寺) ·사재시 ·제비주부(諸妃主府) ·사농시(司農寺) ·대부감(大府監) ·사천감(司天監) ·태사국 ·대묘서 ·의염창(義鹽倉) ·가각고(加閣庫) ·전해고(典廨庫) ·대상시(大常寺) ·대복시 ·예빈시(禮賓寺) ·소부감 ·장작감 ·태의감 ·제능서 ·상사국 ·중상서 ·대관서 ·대악서 ·보원해전고(寶源解典庫) ·상서사(尙瑞司) ·군자시(軍資寺) ·사수서(司水署) ·서적원(書籍院) 등에 설치하였다.

카테고리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