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서도성

상서도성

[ 尙書都省 ]

요약 고려시대의 정무 집행기관인 상서6부의 상급 관부.

982년(성종 1)에 어사도성(御事都省)을 설치했다가 995년에 개칭한 것이다. 1061년(문종 15)에 관제를 정비하여 상서령(尙書令:종1품) 1명, 좌·우복야(僕射:정2품) 각 1명, 지성사(知省事:종2품) 1명, 좌·우승(丞:종3품) 각 1명, 좌·우사낭중(郎中:정5품) 각 1명, 좌·우사원외랑(員外郞:정6품) 각 1명, 도사(都事:종7품) 2명과 이속(吏屬)으로 주사(主事) 4명, 영사(令史) 6명, 서령사(書令史) 6명, 기관(記官) 20명, 산사(算士) 1명, 직성(直省) 2명을 두었다.

1275년(충렬왕 1)에 원나라의 간섭을 받아 중서문하성(中書門下省)을 첨의부(僉議府)로 개칭할 때 이에 병합되었고, 1298년에 충선왕이 즉위하여 도첨의사사(都僉議使司:僉議府를 개칭한 것)에 복야를 설치하고 낭중·원외랑·도사 각 2명씩 두어 별청(別廳)에서 업무를 보게 했다가 곧 폐지하였다.

1356년(공민왕 5)에 다시 상서도성을 설치하면서 관원을 복구했으나 지성사는 두지 않고 도사의 품계는 정7품으로 올렸다. 1362년에 다시 폐지하였다. 상서도성은 형식적으로는 상서6부의 상급관부지만 중서문하성의 재신(宰臣)이 상서6부의 판사, 중추원(中樞院)의 추신(樞臣)이 상서를 각각 겸임하고 있었기 때문에 6부를 실질적으로 장악하지는 못했다.

그 결과 고려의 행정체계는 상서6부가 중심이 되어 위로는 왕에게 직접 연결되고 아래는 중앙과 지방 관청에 직접 첩(牒)을 내렸으며, 상서도성은 단지 중앙 관청이 지방 관청에 발송하는 공문을 관장하고 외교 문서를 발송하거나, 형벌을 의논하며 조서(詔書)를 받들거나 비를 기원하고 과거를 관장하는 등의 기능을 하였다. 이는 상서도성이 당나라의 관제를 채용하여 설치했음에도 불구하고 중서문하성과 동등한 지위를 갖지 못한 형식적인 관청이었음을 말해주고 있다.

이런 사실은 구체적인 관직의 운용에도 잘 나타나는데, 상서령은 문하시중·중서령과 같이 종1품이었으나 실직이 아니라 종친에게 수여하는 허직(虛職)으로 운용하였으며, 복야와 지성사도 종2품 이상으로 형식적으로는 재상의 반열에 속했지만 허직 또는 한직(閑職)으로 이용되어 실제로는 재상이 되지 못했던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