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경

사경

[ 寫經 ]

요약 불교 경전(經典)의 내용을 필사(筆寫)하는 일.

석가의 입멸 후 제자들이 모여 결집한 불교 경전은 처음에는 구송(口誦)으로 전해지다가 문자화되었는데, 사경은 경전이 문자화된 이후에 시작된 것이다. 처음에는 경전의 내용을 배우거나 널리 전파하거나 보존하는 등의 현실적인 목적에서 시작되었을 것이나 뒤에는 그 공덕을 중요시하게 되었다. 사경을 하는 행위가 신앙심과 정진력이 없으면 안 되는 것이기 때문이다.

사경이 언제부터 시작되었는지 그 연대는 분명하지 않다. 후한(後漢) 영제(靈帝) 광화(光和) 2년에 지루가참(支婁迦讖)에 의해 한역된 《도행반야경(道行般若經)》과 《반주삼매경(般舟三昧經)》에 사경의 공덕에 관한 것이 있는 것으로 보면 2세기 이전에 이미 사경이 행해졌을 것이라고 추측할 수 있다. 위의 두 경전 외에도 《방광반야경(放光般若經)》 《수능엄경(首楞嚴經)》 《법화경(法華經)》 등의 여러 대승경전에서 사경의 공덕을 높이 평가하여 장려하고 있는 데 비해 《아함경》이나 《율전(律典)》 등에서는 사경의 공덕에 관한 것이 없다.

이로 미루어 소승(小乘)의 여러 부파에서는 경전을 구송으로 전했으나, 대승 교도들은 서사(書寫)를 장려했다고 볼 수 있다. 또한 인도의 내지(內地)에서는 서사가 많이 행해지지 않았고 서역(西域)에서 많이 행해진 것으로 보인다. 중국에서 한역될 때는 번역된 경문이 필수자(筆受者) 등에 의해 즉시 깨끗하게 필사되었다. 인쇄술의 발달로 경전을 서사한다는 것의 의의가 다소 감소된 것은 사실이지만 법처럼 진행되는 사경 의식은 그 자체가 수행의 한 방법으로 평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