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안 광덕사 조선사경

천안 광덕사 조선사경

[ Joseon Transcription of Buddhist Sutras in Gwangdeoksa Temple, Cheonan , 天安 廣德寺 朝鮮寫經 ]

요약 충청남도 천안시 동남구 광덕면 광덕리 광덕사에 보관된 조선시대의 사경. 1997년 6월 12일 보물로 지정되었다.
천안 광덕사 조선사경

천안 광덕사 조선사경

지정종목 보물
지정일 1997년 6월 12일
소재지 충청남도 천안시 동남구 광덕면 광덕사길 30 (광덕리)
시대 조선 초기(14∼15세기)
종류/분류 기록유산 / 전적류 / 필사본 / 사경

모두 백지에 먹으로 쓴 3종 7책의 사경으로 《부모은중경불설장수멸죄호제동자다라니경(父母恩重經佛說長壽滅罪護諸童子陀羅尼經)》(2권 1집), 《묘법연화경(妙法蓮華經)》권1·3·5·6·7(5권 5첩), 《불설장수멸죄호제동자다라니경대승기신론(佛說長壽滅罪護諸童子陀羅尼經大乘起信論)》권1(2권 1첩)이다.

《부모은중경》은 태종의 둘째아들 효령대군이 쓴 것으로 부모의 은혜를 10가지로 나누어 이야기한 것으로 고려말의 필사본과 목판본들이 여러 종 전래되고, 한글 창제 이후로는 언해본(諺解本)도 여러 종이 전한다. 특히 조선 정조 때 제작된 수원 용주사(龍珠寺)의 동판·석판·목판으로 새긴 것이 유명하다. 한국에 유통되고 있는 《부모은중경》은 다른 경전과는 달리 각 내용에 따른 삽화가 곁들여 있는 것이 특징이다. 효령대군의 불교신앙의 일단을 살펴볼 수 있는 이 책은 권말의 시주질(施主秩)에서 효령대군이 부인 예성부부인(蘂城府夫人) 정씨와 아들이 함께 시주하여 필사한 사경임을 알 수 있는데 필사연대는 효령대군의 셋째아들인 보성군(寶城君)이 1441년(세종 23)에 군(君)으로 책봉되고 효령대군이 1486년(성종 17)에 입적했으므로 이 시기에 이루어진 것으로 추정된다. 특히 효령대군은 회암사(檜巖寺) 중수, 흥천사탑전(興天寺塔殿) 수리 등 수많은 불사를 하였고 간경도감에 의한 《원각경(圓覺經)》등의 불경국역사업을 위시하여 조선 초기의 불교진흥에 큰 역할을 하였다.

《묘법연화경》은 권 1,3,5,6,7로서 권1은 양 표지가 탈락되었으나 권3·5·6·7은 금색 비단의 원래 표지가 있으며, 조선시대의 전형적인 사경인《불설장수멸죄호제동자다라니경대승기신론》은 현존하는 조선시대의 사경 가운데 규격이 가장 큰 것이다. 이 사경들은 불교문화사 및 서지학 연구에 귀중한 자료로 평가되고 있다.

카테고리

  • > >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