감지금니 묘법연화경 권7

감지금니 묘법연화경 권7

[ Transcription of Saddharmapundarika Sutra (The Lotus Sutra) in Gold on Indigo Paper, Volume 7 , 紺紙金泥 妙法蓮華經 卷七 ]

요약 고려 후기에 선조의 명복을 빌기 위해 사경(寫經)한 《묘법연화경》 제7권. 1992년 7월 28일 보물로 지정되었다.
감지금니 묘법연화경 권7

감지금니 묘법연화경 권7

지정종목 보물
지정일 1992년 7월 28일
소장 국립중앙박물관
소재지 서울특별시 용산구 서빙고로 137 (용산동6가, 국립중앙박물관)
시대 고려
종류/분류 기록유산 / 전적류 / 필사본 / 사경
크기 1권 1첩

1992년 7월 28일 보물로 지정되었다. 서울시 용산구 국립중앙박물관에 소장, 1권 1첩이다. 《법화경(法華經)》이라고도 하는 《묘법연화경》은 일승(一乘) 불교 사상을 설한 경전으로 《화엄경(華嚴經)》과 함께 한국 불교사상의 확립에 큰 영향을 끼쳤으며, 한국에서 가장 많이 간행된 불교 경전이다.

이 책은 《법화경》 7권 가운데 마지막권으로 권말(卷末)에 고려시대인 1366년(공민왕 15) 권도남(權圖南) 등 6명이 선친과 선조의 명복을 빌기 위해 봉정사(鳳停寺)에 봉안한 것임을 밝히는 사성기가 적혀 있다. 그러나 이 사성기는 본문(本文)과 글씨도 다르고 지질(紙質)도 다르다. 책의 표지와 제1·2장은 없어졌다. 위아래로 홑금줄이며, 뒷표지는 금은니의 당초문(唐草文)으로 장식되었고, 뒷면 금니의 이제(裏題)는 ‘권칠사장(卷七四丈)’이다. 사성기와 본문은 글씨와 지질이 달라, 권씨 일가가 봉정사에 시주할 때 이미 만들어진 사경을 구하여 권말의 사성기만 따로 쓴 것으로 추정된다.

전체적 품격으로 보아 고려 후기의 사경이다.

참조항목

사경, 묘법연화경

카테고리

  • > >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