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경 봉암사 지증대사탑비

문경 봉암사 지증대사탑비

[ Stele of Buddhist Monk Jijeung at Bongamsa Temple, Mungyeong , 聞慶 鳳巖寺 智證大師塔碑 ]

요약 경상북도 문경시 가은읍 봉암사에 있는 탑비. 2010년 1월 4일 국보로 지정되었다.
문경 봉암사 지증대사탑비

문경 봉암사 지증대사탑비

지정종목 국보
지정일 2010년 1월 4일
소재지 경상북도 문경시 가은읍 원북길 313, 봉암사 (원북리)
시대 후삼국시대
종류/분류 기록유산 / 서각류 / 금석각류 / 비
크기 높이 : 486cm

경상북도 문경시 가은읍 봉암사에 있는 통일신라의 승려 지증대사(智證大師) 도헌(道憲)의 탑비(塔碑)이다. 탑비(부도비)는 승려의 출생에서 사망까지의 행적 등을 기록한 비석으로, 고승(高僧)이 입적한 후 그의 죽음을 추모하고 존경심을 나타내기 위해 승탑(부도)과 함께 세워졌다. 비문에 적힌 기록을 통해 도헌이 입적한 882년(신라 헌강왕 8)으로부터 42년 후인 924년(신라 경애왕 1) 경에 건조되었음을 알 수 있다.

지증대사 도헌

도헌(道憲)은 824년(신라 헌덕왕)에 태어나 882년에 입적한 승려이다. 840년(신라 문성왕 2) 경의(瓊儀)에게 구족계(具足戒)를 받아 승려가 되었으며, 계람산 수석사(水石寺)에 들어가 혜은(慧隱)의 북종선(北宗禪) 선법(禪法)을 이어 받았다. 현계산 안락사(安樂寺)를 거쳐 희양산에 봉암사(鳳巖寺)를 창건하고, 구산선문(九山禪門) 중 하나인 희양산문(曦陽山門)을 개창(開創)하였다. 882년(신라 헌강왕 8) 도헌이 안락사에서 입적하자, 헌강왕은 도헌에게 '지증(智證)'이라는 시호(諡號)와 '적조(寂照)'라는 탑호(塔號)을 내렸다.

탑비의 구조와 양식

귀부·비신·이수로 구성되어 있으며 귀부와 이수는 화강암으로, 비신은 편마암으로 제작되었다. 비석의 전체 높이는 486cm이고, 이 중 비신의 높이는 273cm이다.

귀부(龜趺)는 거북 모양으로 만든 비석의 받침돌로 비신과 이수를 지탱하는 역할을 한다. 문경 봉암사 지증대사탑비의 귀부는 입에 여의주를 물고 있는 용의 얼굴로 묘사되었으며, 등에는 육각의 귀갑문(龜甲文)이 새겨져 있고, 비좌(碑座: 비신을 세우기 위해 홈을 판 자리)의 4면에는 우주와 탱주를 새기고, 측면에 공양상(供養像)을 조각하여 장식하였다. 

비신(碑身)은 탑비에서 가장 중심이 되는 부분으로 선종의 전래 과정과 도헌의 행적에 대한 기록 등이 새겨져 있다. 비문에 의하면 당대 최고의 문장가였던 최치원(崔致遠)이 885년에 헌강왕으로부터 찬술을 명받아 893년(진성여왕 7)에 비문을 완성하였으나, 이로부터 31년 후인 924년이 되서야 혜강(慧江)에 의해 비신에 글씨가 새겨졌다. 비문의 본문 내용은 서(序)와 명(銘)으로 구성되어 있다. '서(序)'에는 신라의 선종사(禪宗事)를 기록하였고, '명(銘)'에는 도헌의 생애를 칠언시(七言時)로 기록하였다. 문경 봉암사 지증대사탑비의 비문은 하동 쌍계사 진감선사탑비, 경주 승복사지 대숭복사비, 보령 성주사지 대낭혜화상탑비의 비문과 함께 최치원의 사산비명(四山碑銘) 중 하나에 속한다. 

이수(螭首)는 탑비의 머리 부분으로 장식적인 역할과 비신을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이수 중앙에 마련된 제액(題額: 비석의 명칭이나 비석의 주인공을 새긴 부분)이 마련되어 있으며, 제액을 중심으로 용, 구름, 연꽃 등의 문양이 조각되어 있다. 이수의 가장 윗 부분에는 소원을 들어준다는 구슬인 보주(寶珠)를 올렸다.

가치 및 의의

문경 봉암사 지증대사탑비는 구산선문(九山禪門) 중 하나인 희양산문(曦陽山門)을 개창한 도헌의 탑비라는 점과 비신에 기록된 비문이 최치원이 지은 사산비명(四山碑銘) 중 하나라는 점에서 역사적 의의를 갖는다. 비석에 새겨진 비문에는 도헌의 행적뿐만 아니라 선종이 전래된 역사와 계보가 기록되어 있어 역사학·불교학에서 중요한 사료로 평가되며, 비석에 쓰인 글자는 금석학·서예학 등의 분야에서 중요한 가치를 갖는다. 전체적인 보존 상태가 양호하고, 귀부와 이수의 화려한 조각 장식은 통일신라시대 탑비의 대표 작품으로 평가된다. 이러한 역사적·학술적·예술적 가치를 인정받아 2010년 1월 4일 국보로 지정되었다.

카테고리

  • > >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