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람

바람

[ wind ]

요약 공기의 움직임으로서, 풍향, 풍속의 벡터량으로 나타낸다. 풍향은 남북방향 기준으로 16방위로 표시하며 풍속은 ㎧ 단위로 나타낸다. 풍력을 표시할 경우 보퍼트의 풍력계급을 사용한다. 한편, 태양에서 방출된 대전입자의 흐름을 태양풍이라고 하기도 한다.
바람(풍향)

바람(풍향)

태양으로부터 방출되는 대전입자(帶電粒子)의 흐름을 태양풍(solar wind)이라 하는데 대해, 행성대기(行星大氣)의 움직임을 바람이라고 하는 경우도 있다. 뇌운(雷雲) 속이나 산을 넘는 등의 특수한 경우를 제외하면 바람은 거의 수평방향으로 흐르며, 수직방향의 움직임은 약 1%이다.

바람은 벡터량(量)이므로 보통 풍향과 풍속의 두 가지 양으로 나타내지만, 이론적으로 취급할 때는 동서성분(東西成分)과 남북성분으로 구분해서 표시한다. 풍향은 남북방향을 기준으로 한 16방위로 표시하며, 상세히 표시할 경우에는 북쪽으로부터 시계방향으로 360°까지 표시한다. 옛날에는 동서방향이 기준이었으므로 동북풍 ·서남풍 등이라 했으나, 현재는 남북이 기준으로 되어 있어, 지역의 고유명으로 사용하는 외에는 북동풍 또는 남서풍 등으로 표시한다.

풍속은 m/sec 단위로 표시하며, 다른 단위에 의한 수치와의 환산은 다음과 같다. 1km/h = 0.278m/sec = 0.621mph(mile/h) = 0.540 kn(knot)=0.911ft/sec 이것을 간략하게 표시하면 1m/sec ≒ 2kn, 1kn ≒ 1852m/h 가 된다. 풍속 대신에 풍력(風力)이 특별히 풍력계급에 의해서 표시되는 일이 있는데, 가장 많이 사용되는 것은 영국의 제독(提督) F.보퍼트가 제창한 풍력계급이다.

바람 본문 이미지 1

카테고리

  • > > >
  • > >
  • > >
  • > >
  • > > >
  • > > >

관련동영상

기압 차이로 부는 바람 지표면이 따뜻하면, 공기는 가열되어 분자 운동이 활발해지면서 부피가 팽창합니다. 팽창한 공기는 주변 공기보다 가벼워서 상승하게 되므로, 이 지역은 공기의 압력이 낮은 저기압 상태가 됩니다. 이와 반대로 지표면이 차가우면, 공기는 냉각되어 분자 운동이 느려지면서 부피가 줄어듭니다. 압축된 공기는 주변 공기보다 무거워서 하강하게 되므로, 공기의 압력이 높은 고기압 상태가 됩니다. 이처럼 지표면의 온도에 따라 기압의 차이가 생기며, 이런 차이로 인해, 기압이 높은 곳에서 낮은 곳으로 공기가 이동하는 현상인 ‘바람’이 불게 됩니다. 해안가에서 낮에 햇빛이 비치면 육지가 바다보다 빨리 가열되어 육지의 공기는 바다의 공기보다 온도가 더 높아집니다. 육지에서는 따뜻한 지표면의 공기가 팽창하여 올라가기 때문에 저기압이 형성되고, 해수면의 온도가 낮은 바다에서는 공기가 압축되어 하강하므로 고기압이 형성됩니다. 고기압인 바다에서 저기압인 육지로 공기가 이동하며 바람이 불게 되는데, 이를 해풍이라고 합니다. 반면에 밤에는 바다가 육지보다 천천히 식어 지표면보다 해수면 공기의 온도가 더 높습니다. 따라서 바다는 기압이 낮고, 육지는 기압이 높아, 육지에서 바다 쪽으로 부는 바람인, 육풍이 불게 됩니다. 출처: doopedia

관련이미지

방향에 따른 바람의 옛 이름

방향에 따른 바람의 옛 이름 출처: doopedi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