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성기상학

행성기상학

[ planetary meteorology , 行星氣象學 ]

요약 행성대기의 현상을 연구하는 기상학의 한 분야로 비교기상학의 중요한 한 분야로서 대두되고 있다. 주로 대기가 짙은 화성과 금성에 국한되어 있다.


지구의 만을 연구하던 이 최근 태양계(太陽系)의 까지 그 범위를 확장한 것으로, 비교기상학의 중요한 한 분야로서 대두되고 있다. 주로 대기가 짙은 (火星)과 (金星)에 국한되어 있다. 화성대기는 대부분 이산화탄소로 되어 있으며, 일산화탄소와 수증기도 일부 존재한다는 것이 알려졌다.
화성대기의 화학 조성과 구조는 9호가 직접 조사함으로써 더 확실해졌다. 또 를 이용하여 화성의 양성자권에서 수소원자가 방출하는 복사선을 검출할 수 있었다. 화성대기에는 온도 약 200K의 이온층이 각각 100km와 150km의 높이에 존재하며, 두 이온층은 1㎤당 9×104개의 전자밀도를 가지고 있다.
금성의 경우는 소련의 베네라우주탐사선이 금성대기권에 진입하여 하강하는 동안과 착륙한 뒤 한동안, 금성대기의 압력과 온도, 화학조성에 대한 보고를 해왔는데, 그 결과 금성대기는 이산화탄소 90∼95%, 질소가스 5% 이하, 산소 1%, 수증기 1% 미만의 성분으로 구성되었음이 밝혀졌다. 금성표면은 그 압력이 약 100atm이며, 온도는 약 700K로, 매우 뜨겁고 황폐한 상태이다.

역참조항목

,

카테고리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