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산시

마산시

[ Masan-si , 馬山市 ]

요약 경상남도 중남부 진해만 안쪽의 마산만에 있던 항만 공업도시였으며 2010년 7월 1일 진해시·창원시와 통합하여 창원시로 새롭게 출범하였다. 북부 지역은 마산회원구, 남부 지역은 마산합포구로 분구되었다.19세기 말에는 개화항으로, 1960~1970년에는 3·15 마산의거와 부마민주항쟁이 일어난 민주화운동의 발상지로 근현대사에 자취를 남겼으며, 1970년대 이후 마산수출자유지역이 조성되어 경제발전을 견인하였다.
구(舊) 마산시 모습

구(舊) 마산시 모습

위치 경상남도의 중부 남방에 마산만 안에 있는 시
면적(㎢) 330.4
행정구분 1읍 4면 27동
행정관청 소재지 경상남도 창원시 마산합포구 중앙동3가 4-11
장미
나무 은행나무
괭이갈매기
홈페이지 http://www.masan.go.kr
인구(명) 415,805(2007년)

면적은 330.6㎢이며, 동쪽으로 창원시·진해시와, 서쪽으로 진주시·고성군과, 북쪽으로 함안군과 접하고, 남쪽으로는 진해만에 면하였다. 지형은 무학산(767m)을 중심으로 한 화강암의 낮은 구릉성 산지가 병풍처럼 진해만을 에워싸고 동쪽 기슭 마산만 연안에 남북으로 길게 시가지가 형성되었다. 해안은 크고 작은 반도와 섬들이 흩어져 있는 리아스식해안으로 곳곳에 만입이 발달하였다.

신라시대에는 골포(骨浦)라 불렀고, 676년(문무왕 16) 현이 되어 굴자군(지금의 창원)에 속하였다. 757년(경덕왕 16) 굴자군은 의안군으로, 골포현은 합포현(合浦縣)으로 바뀌었다. 고려시대에 이르러 982년(성종 1) 조창(석두창)을 두었고, 1018년(현종 9) 합포현은 의안군과 함께 금주(지금의 김해)에 편입되었다. 1274년(원종 15) 원나라가 합포에 정동행성을 설치하여 일본 정벌의 근거지로 삼았고, 1282년(충렬왕 8) 의안이 의창현(義昌縣)으로, 합포는 회원현(檜原縣)으로 각각 독립하였다.

조선시대에는 1408년(태종 8) 의창현과 회원현이 창원부로 통합된 뒤 1415년(태종 15) 창원도호부로 승격되었으며, 1601년(선조 34) 창원대도호부를 거쳐 1661년(현종 2) 현으로 강등되었다가 1670년(현종 11) 다시 대도호부로 환원되었다. 1663년(현종 4) 대동법이 시행됨에 따라 낙동강 일대 13군의 조공미를 서울로 수송하기 위한 조창이 남성동 지역에 설치되었고, 이후 마산포(馬山浦)라 불리며 훗날 마산의 기반이 되었다.

1899년 마산포가 개항장이 되고 일본 영사관이 설치되었으며, 1906년 영사관을 이사청으로 개편하였다. 1914년에는 마산부가 설치되었고, 광복 후 1949년 마산부가 마산시로 개편되었다. 6·25전쟁 때는 낙동강 전선의 병참기지 역할을 하였고, 1960년에는 부정선거에 항거하는 3·15마산의거가 일어나 4·19혁명의 도화선이 되었다.

1970년 마산수출자유지역이 설치되어 경제성장을 견인하였고, 1979년에는 부산 지역과 더불어 유신체제에 항거하는 부마민주항쟁이 일어났다. 1980년 창원시가 분리되었고, 1989년 인구 증가에 따라 합포출장소와 회원출장소를 설치하였으며, 이듬해 각각 합포구와 회원구로 승격시켰다. 1995년 1월 창원군 일부와 마산시가 합쳐져 도농복합형 통합시가 되었고, 2000년 12월 인구 감소에 따라 합포구와 회원구가 폐지되었다.

인접한 창원시·진해시와 생활권이 같아 이른바 '마·창·진' 통합에 대한 논의가 이전부터 꾸준히 제기되어 오다가 2008년 이명박정부가 들어서면서 행정구역 통합이 가속화되었다. 2009년 마산·진해 시의회의 행정구역 자율통합 찬성에 이어 창원 시의회에서도 통합안이 가결된 데 이어 2010년 3월 2일 국회에서 3개 시를 창원시로 통합하는 법안이 가결됨에 따라 7월 1일 통합 창원시가 출범하였다. 통합 창원시의 출범으로 마산시의 북부 지역은 마산회원구로, 남부 지역은 마산합포구로 분구되었다.

마산시 본문 이미지 1
거창군함양군합천군진주시하동군통영시남해군산청군의령군사천시함안군진해시창원시창녕군양산시고성군거제시밀양시마산시김해시

자연

광려산, 낙남정맥, 마산만, 무학산, 적석산, 팔용산

관광

광암해수욕장, 마산돝섬해상유원지, 산호공원

문화유적

구 마산헌병 분견대, 마산 농청놀이, 마산 봉암수원지, 위암장지연선생의묘, 의창 곡안리 지석묘, 창원 가을포 봉수대, 창원 경행제, 창원 고현리 공룡발자국 화석, 창원 관해정, 창원 봉화산 봉수대, 창원 성요셉 성당, 창원 월영대, 창원 의림사 삼층석탑, 창원 이산성지, 창원 인곡리 모과나무, 창원 제말 묘, 창원 진해현 관아 및 객사 유지, 창원 진해현 호적, 창원 호계리 공룡발자국 화석, 창원 회원현성지, 합포성지

문화시설

결핵요양소, 경남대학교 박물관, 국립결핵병원, 국립마산병원, 문신미술관, 삼성의료원

관공서

국립마산검역소, 마산세관, 마산지방해양수산청

학교

가포초등학교, 감천초등학교, 경남대학교, 광려초등학교, 교동초등학교, 교방초등학교, 구산중학교, 구산초등학교, 구암여자중학교, 구암중학교, 구암초등학교, 내서중학교, 내서초등학교, 마산가포고등학교, 마산고등학교, 마산공업고등학교, 마산구암고등학교, 마산내서여자고등학교, 마산대학교, 마산동중학교, 마산무학여자고등학교, 마산삼진고등학교, 마산서중학교, 마산여자고등학교, 마산여자중학교, 마산의신여자중학교, 마산제일고등학교, 마산제일여자고등학교, 마산제일여자중학교, 마산중앙고등학교, 마산중앙중학교, 마산중앙초등학교, 마산중학교, 무학여자중학교, 무학초등학교, 반동초등학교, 봉덕초등학교, 북성초등학교, 산호초등학교, 삼계중학교, 삼계초등학교, 삼진중학교, 상남초등학교, 상일초등학교, 석전초등학교, 성지여자고등학교, 성지여자중학교, 성호초등학교, 신월초등학교, 안계초등학교, 양덕여자중학교, 양덕중학교, 양덕초등학교, 완월초등학교, 용마고등학교, 용마초등학교, 우산초등학교, 월성초등학교, 월영초등학교, 월포초등학교, 중리초등학교, 진동초등학교, 진전중학교, 진전초등학교, 창신고등학교, 창신대학교, 창신중학교, 팔룡초등학교, 하북초등학교, 한일여자고등학교, 합성초등학교, 합포고등학교, 합포여자중학교, 합포중학교, 합포초등학교, 해운중학교, 해운초등학교, 현동초등학교, 호계중학교, 호계초등학교, 회원초등학교

교통

5번국도, 남해고속도로제2지선, 마산항, 진주선

행사및축제

3·15마산의거기념문학제, 마산문화제, 창원국제공연예술축제

종교

광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