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원 가을포 봉수대

창원 가을포 봉수대

[ 昌原 가을포 烽燧臺 ]

요약 경상남도 창원시 마산합포구 진동면에 있던 봉수대. 1997년 12월 31일 경상남도 기념물로 지정되었다.
창원 가을포 봉수대

창원 가을포 봉수대

지정종목 경상남도 기념물
지정일 1997년 12월 31일
관리단체 창원시
소재지 경상남도 창원시 마산합포구 진동면 산60번지
시대 고려시대
종류/분류 유적건조물 / 교통통신 / 통신 / 봉수

1997년 12월 31일 경상남도 기념물로 지정되었다.

경상남도의 봉수는 경상도 지방에서 서울로 연결되는 것과 동해안 쪽에서 서울로 연결되는 것의 두 갈래 봉수가 통과되고 있었다. 봉수망은 본선인 직봉(直烽)노선과 지선인 간봉(間烽)이 각 지방에 있으며, 이 지방에는 직봉 제2로로서 출발점이 동래군 동남 해변의 응봉(鷹峰:釜山 多大浦) 첨봉이며 종점은 경기도 광주(廣州) 천림산(天臨山)이고, 최종점은 남산(목멱산)의 경봉수(京烽燧)이며 10개의 간봉이 있어 거미줄처럼 형성되어 있었다.

가을포 봉수대는 간봉 제2로로서 고성 곡산 봉수대에서 이어받아 함안 파산 봉수대를 거쳐 고령 망산 봉수대와 통하여 직봉 제2로와 연결, 서울의 남산까지 빠르면 2시간, 늦어도 12시간 안에 도착되게 하여 당시로서는 위급을 알리는 가장 빠른 수단이었다. 1996년 9월 17일 복원하였다.

카테고리

  • >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