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이포

내이포

[ 乃而浦 ]

요약 조선시대 경상남도 진해시 웅천동(熊川洞)에 있었던 개항장(開港場).

제포(薺浦)라고도 한 이 지역은 군사적 요지로 웅천과 창원을 방어하고 마산포의 해상운송을 돕는 역할을 하였다. 1443년(세종 25)에 계해조약으로 삼포(부산포·제포·염포)에 왜선(倭船)의 내왕 및 왜인의 체류를 허가하였다.

왜관을 설치하여 60여 명이 거주하도록 하였으나 500여 호에 이르면서 내국인과 충돌이 잦아 왜인들에 대한 단속을 강화하게 되자 1510년(중종 5) 왜인들이 쓰시마섬[對馬島]의 원병과 함께 삼포왜란을 일으켜 제포첨사 김세조(金世釣)를 살해하고 제포와 웅천을 점령하였다. 이에 조정에서 토벌군을 보내 제포성을 복구하고 한동안 왜인의 거주를 허가하지 않았다.

조선시대에는 부근에 사화랑(莎火郞) 봉수가 있었고 김해·창원·안골포와 이어지는 도로가 발달하였다. 또한 제포 앞바다에는 가덕도가 있어 임진왜란원균(元均)과 왜군이 격전을 벌인 곳이다. 1908년 창원부에 편입되었다가 1973년 창원군에서 진해시로 편입되었다. 현재는 경남 창원시 진해구 웅천동에 있다.

카테고리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