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수생물

기수생물

[ 汽水生物 ]

요약 바다와 강이 만나는 부분에서 생활하는 생물이다. 기수환경의 심한 염분변화를 대응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농어, 갯지렁이등이 이에 속한다.

기수환경은 시간이나 장소에 따라 염분의 변화가 심한 것이 특징이므로, 기수생물에게도 그것에 대응하는 특색이 있다. 다염성 기수생물에는 광염성의 해산생물이 대부분을 차지하고, 굴·김·이매패류(二枚貝類) 등이 잘 알려진 종류이다. 또, 적조의 원인이 되는 야광충 등의 플랑크톤도 볼 수 있다. 중염성 기수생물은 기수 특유의 것이 많고, 저생생물에는 가막조개·갯지렁이 등이 있으며, 숭어·문절망둑 등 어류도 많다.

빈염성(貧鹽性) 기수생물에는 내염성이 강한 담수생물이 있다. 붕어·뱀장어·뱅어 등의 어류가 그 예이다. 열대지방에는 기수역의 생물이 매우 풍부한데 담수생물로의 이행이 열대지방에서 일어났다는 설도 있다.

참조항목

생물

역참조항목

기수, 기수역

카테고리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