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수

기수

[ brackish water , 汽水 ]

요약 바닷물과 강물이 섞여 있는 곳에서 소금의 양이 바닷물 보다 적은 물을 말한다. 기수가 흐르는 지역을 기수역이라 하는데 보통 강의 하구에서 부터 2~3km정도의 범위를 가리킨다.
향호 (기수역)

향호 (기수역)

해수 1kg당 염소의 g수(퍼밀‰)를 염소량이라 하는데, 원양(遠洋)의 바닷물의 염소량은 보통 17∼19‰이다. 이에 비해 근해(近海)나 하구의 염소량은 불명확하여 하한(下限:0.2∼0.5‰)과 상한(16.5∼20‰)이 연구자에 따라 다르다. 염분의 농도가 낮은 하구 일대를 기수역(汽水域)이라 하는데, 하천수질오염 등으로 기수역에서의 어업이 큰 영향을 받고 있다. 기수역은 큰 강의 하구에서는 수백km의 먼 바다까지 이르지만, 보통은 2∼3km이다.

역참조항목

염소량

카테고리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