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수역

기수역

[ brackish water zone , 汽水域 ]

요약 강물이 바다로 들어가 바닷물과 서로 섞이는 곳을 말한다. 이곳에서는 소금의 농도가 다양하기 때문에 여러 가지 생물들이 살고 있다.
향호 (기수역)

향호 (기수역)

하구역(河口域:estuary)이라고도 한다. 담수의 양은 집수역의 강수량에 따라 불규칙하게 변하고 바닷물은 조수의 간만으로 규칙적인 상하운동을 한다. 그러므로 염분농도는 0.5∼30‰로 매우 광범위하며 계절이나 강수량 등에 따라 변화가 심하다(보통 염도 0.5‰ 이하의 물은 담수, 30‰ 이상을 해수라고 한다).

따라서 기수역에는 이러한 광범위한 염분농도에 적응할 수 있는 생물들이 분포한다. 생물의 종류는 순수 해양생물이나 담수생물군에 비해 수가 적으나 해양생물에 속하는 종류가 대부분이며 담수생물은 극히 일부분에 지나지 않는다. 하구(河口) 이외의 해안지대 호수지대에 바닷물이 주기적으로 들어와 기수생태계를 형성하기도 한다.

한국 동해안의 영랑호·송지호·향호 등이 그 좋은 예이다.

카테고리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