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충

구충

[ hookworm , 鉤蟲 ]

요약 원충목(圓蟲目) 구충과에 속하는 선형동물의 총칭.
동물
선형동물
크기 몸길이 약 1㎝
생활양식 사람·개·소·양 등에 기생
서식장소 사람·개·소·양 등

이탈리아밀라노에서 처음으로 구충이 발견되었을 때 때마침 십이지장기생하고 있었기 때문에 십이지장충이라 명명되었으나, 본래의 기생 부위는 오히려 공장(空腸)이고, 현재에는 구충이라고 일컬어진다. 입 부분에 이빨과 같은 흡착기를 가지고 있으면서 숙주의 장점막에 붙어 피를 빨아먹는 한 무리의 선충들을 가리킨다.

구충에는 사람에게 기생하는 아메리카구충(Necator americanus)·십이지장충(Ancylostoma duodenale)과 개·소·양 등에 기생하는 고유의 구충이 있다. 한국에는 개십이지장충(A. caninum)과 소구충(Bunostomum phlebotomus)·양구충(B. trigonocephalum) 등이 있다.

인체에 기생하는 구충은 몸길이가 대개 1㎝ 정도이지만 십이지장충이 좀 길고 굵다. 또 십이지장충의 입에는 2쌍의 이빨이 있고 아메리카구충은 얇은 널빤지와 같은 모양의 치판(齒板)이 있다. 분변과 함께 밖으로 나온 알은 적당한 온도·습도·산소가 있으면 부화하여 2회 탈피하여 필라리아형의 감염형 유충이 된다. 십이지장충은 입으로, 아메리카구충은 피부로 감염된다. 감염된 지 4∼7주가 지나면 소장 상부에서 성충이 되어 산란을 시작하고 알이 분변으로 나온다.

침입 부위에 소양감·작열감을 일으키고 홍반구진, 수포 등을 일으킨다. 십이지장충에 감염되면 채독증을 일으키며 발작성 기침 등의 특이한 증세를 보인다. 또 빈혈이 생기는 수도 있다. 감염을 예방하려면 인분을 위생적으로 처리하고 채소를 깨끗이 씻는 등 위생에 각별히 신경써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