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모양선충

동양모양선충

[ 東洋毛樣線蟲 ]

요약 원충목(圓蟲目) 모양선충과의 선형동물.
학명 Trichostrongylus orientalis
동물
선형동물
원충목
모양선충과
멸종위기등급 미평가(NE : Not Evaluated, 출처 : IUCN)
크기 성충 몸길이 수컷 3.8∼4.8㎜, 암컷 4.9∼6.7㎜
몸의 빛깔 반투명한 회색을 띤 흰색
생활양식 사람의 소장 상부에 기생
서식장소 사람의 소장 상부
분포지역 동양(특히 한국과 일본)과 중남미

쌍선충류에 속하며, 사람의 소장 상부에 기생한다. 성충의 몸길이는 수컷 3.8∼4.8㎜, 암컷 4.9∼6.7㎜이다. 성충은 반투명한 회색을 띤 흰색으로 아주 가늘고 긴 털처럼 생겼으며, 머리 부위에 구강낭은 없고, 3개의 유두가 있다. 암컷의 음문은 몸 뒤쪽의 5분의 1 부위에 위치하며, 수컷의 꼬리쪽에는 교접낭이 있고, 교접침은 상당히 강한 편이다.

발육과정은 구충과 비슷하다. 알은 긴 타원형이며 한쪽 끝이 뾰쪽하고 비대칭이다. 내부에 포도알처럼 많은 난세포를 포함한 알이 대변과 함께 밖으로 나오면 3∼4일 이내에 부화한 유충은 라브디티스형 유충과 필라리아형 유충 시기를 거친다. 감염형 유충인 필라리아형 유충은 피부를 뚫는 힘이 약해 주로 경구감염된다. 숙주에 들어가면 위를 지나 소장에서 머리 부분을 파묻고 기생한다. 감염 후 25일 정도면 성충으로 성숙하며 폐로 이행되는 일은 없다.

특별한 증세가 없어 감염 여부를 깨닫지 못하지만 많은 개체가 기생하면 장점막에 염증이 생기고 복통·설사·피로감·빈혈 등을 일으킨다. 예방법은 구충과 같으며 인분을 위생적으로 처리하고 채소를 깨끗이 씻어 먹어야 한다. 주로 동양라틴아메리카(중남미)에 분포하며, 특히 한국과 일본에서 발견율이 높다. 

카테고리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