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막

사막

다른 표기 언어 desert , 沙漠

요약 극히 건조하고 식생이 드문 넓은 지역.

목차

펼치기
  1. 기후조건 및 분포
  2. 환경요인
    1. 지형
    2. 건조성과 원인
    3. 수리적 요인들
    4. 지표수
    5. 지하수
    6. 기후양상과 생물상
    7. 생물상의 공간적인 분포
  3. 종류
    1. 한성사막
    2. 관목사막
    3. 선인장사막
    4. 초본사막
    5. 염분사막
    6. 사구
    7. 와디 및 수로
    8. 사막의 수성환경
  4. 생물군과 적응
    1. 원생생물
    2. 식물
    3. 무척추동물
    4. 척추동물
    5. 인간
  5. 사막생태계의 생산성

사막은 그곳의 거친 환경에 특별하게 적응한 독특한 동식물 군집을 가진 지구의 주요생태계 가운데 하나이다. 대표적인 사막의 예로는 아프리카의 사하라 사막과 나미프 사막, 사우디아라비아의 룹알할리 사막, 중앙 아시아의 타클라마칸 사막, 페루와 칠레의 아타카마 사막이 있다.

사막
사막

기후조건 및 분포

사막의 한계를 정하는 데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건조도는 연평균강수량이 250㎜ 또는 그 이하이다. 지구 지표면의 5% 정도가 이런 제한된 양의 강수량을 가진다. 사막은 고위도, 극주변 및 지구를 에워싼 띠 모양의 중위도대(帶)와 저위도대에 집중되어 있다. 고위도의 한성 사막은 영구 빙하지역인 남극대륙, 그린란드 및 계절적으로 눈과 얼음이 없을 때도 있는 북아메리카와 유라시아의 툰드라 지역을 포함한다(→ 한성사막).

극지방은 강수량이 적어 연평균강수량은 약 127㎜ 정도이다. 그러나 사막과 유사한 툰드라 지역 내의 암석이 많은 불모지는 부분적으로는 건조함 때문이지만 다른 복잡한 원인으로 형성된 것이다. 실제로 대부분의 툰드라 지역은 서늘하고 짧은 식물성장기 중에는 충분한 물을 공급받는다. 뜨겁고 건조한 지역은 사막의 특성 중 우리에게 가장 친숙한 예이다.

이들 지역은 서로간에 상당한 생태학적 유사성을 보이나 추운 극지방의 사막과는 물리적·생물학적으로 거의 관련이 없다. 적도의 남위·북위 15~30° 사이에 존재하는 열대사막으로는 북아프리카의 사하라 사막, 인도아대륙의 신드 사막, 오스트레일리아의 빅토리아 사막, 아프리카 남서쪽의 칼라하리 사막이 있다. 이들 사막의 기원과 위치는 공기가 열대 무역풍대의 고압대로부터 적도 무역풍대로 하강하며 압축되어 더워지면서 생기는 건조함에 기인한다. 강수량의 감소와 극히 높은 증발률은 특히 대륙의 서쪽 편에서 땅을 건조하게 하는 주요한 두 요인이 된다.

중위도에서 계절적으로 형성되는 뜨거운 사막은 기후, 지리적 위치와 지형 사이의 복잡하고 때로는 모호한 상관관계에 의한 것으로 보인다. 그 예로 중앙 아시아의 고비 사막과 타클라마칸 사막은 습기를 포함한 바람이 도달하지 못하는 먼 대륙 내부에 위치해 있다. 반면 아르헨티나 남부에 있는 안데스 산맥 동쪽의 사막은 습윤한 바람의 이동을 가로막는 높은 산맥으로 인해 생기는 '비그늘 효과'에 의한 것이다.

모래 언덕(dune)
모래 언덕(dune)

모든 사막에서 기후조건은 극단적인 특색을 지니며 변화 정도도 여러 사막간에 다양하다. 계절적 온도변화 차이로 열대 사막은 중위도 사막과 뚜렷이 구분된다. 중위도 사막에서는 기온의 일교차뿐만 아니라 계절적 변화도 크다. 예를 들면 고비 사막에서는 겨울에 바람이 격렬하고 혹독한 눈보라가 일상적으로 몰아친다. 이 지역의 일부에서는 1년 중 6개월 정도 평균기온이 영하로 내려간다. 가장 더운 달의 대기온도는 평균 41~43℃이다.

대부분의 건조한 기후에서 볼 수 있는 뚜렷한 특성은 강수량의 변화이다. 몇년 동안은 관측될 만한 비가 한 번도 내리지 않다가 갑자기 대홍수가 일어난다.

일반적으로 이런 변화성은 연평균강수량에 반비례한다. 즉 총강수량이 감소하면 변화성은 증가한다. 사막 지역은 울퉁불퉁한 산지일 수도, 높은 고원 또는 평원일 수도 있다. 대부분의 사막은, 어떤 지역에서는 볼손(bolson)으로 알려져 있는, 주위가 산으로 둘러싸인 넓은 분지로 되어 있다. 표면은 노출되어 있는 기반암, 자갈과 표력 및 광대한 비사 지역으로 되어 있다. 흔히 사막의 전형적인 모습으로 생각되는 바람에 날리는 모래는 단지 북아메리카 사막의 2%, 사하라 사막의 10%, 아라비아 사막의 30%를 차지할 뿐이다.

극지방 외의 사막 지형은 풍화·풍식·하천 작용으로 이루어진다. 암석의 파편화는 주로 큰 폭의 기온변동에 의한 팽창·수축의 결과로 일어난다. 바람은 거대한 먼지 구름을 운반하고 지표면을 따라 많은 양의 모래를 이동시키며, 모든 입자들은 암석을 마모시켜 면을 만들고 연마하는 도구처럼 작용한다. 계속되는 세립질 물질의 제거로 사막은 자갈과 표력만이 남아 있는 분지로 되어버린다. 드물지만 짧은 시간 동안 거세게 내리는 비는 돌발홍수를 일으킨다.

빗물은 고지대에서 넓게 퍼져 흘러내리거나, 메마른 협곡이나 골짜기로 거세게 흐른다. 빠른 속도로 흐르는 유수는 물이 땅속으로 침투되거나 증발되어 사라지기 전까지 짧은 거리지만 많은 양의 진흙·모래·암석 조각을 사막분지 내로 이동시킨다. 볼손의 구심상하계는 때때로 상부에는 침식된 기반암 표면이 드러나고 하부는 복합선상지의 기복이 있는 사면으로 이루어진 페디먼트를 형성한다. 고지대에서 녹아내려온 염분은 분지의 중심부로 운반되고 바다로 흘러가는 길이 차단된 일시적인 호수에 축적됨으로써 염분은 계속 증가한다.

동식물의 집단은 사막마다 질적·양적으로 서로 다른 경향을 보이지만 모두 부족한 을 획득·보존하려는 생리적·행동적인 특성을 지니고 있다. 식물은 키가 작고 가시가 있으며 잎은 작거나 없고, 색깔은 회색에서 밝은 녹색이고 대부분의 경우 뿌리는 광범위하고 깊다. 표면적을 줄이고 낮 동안에는 기공을 닫고 있으며, 물의 증발을 막기 위해 큐티클이나 밀랍질로 덮여 있고, 많은 양의 물을 축적하기 위해 다육다즙기관을 지니는 것은 다년생 식물의 중요한 유전적 특징이다.

건조기간을 피해 건기 동안 휴식하던 1년생 식물은 비온 후에 풍성하게 나타난다. 건조기후에 적응한 우세한 건생식물에는 용설란류, 선인장류, 국화과 식물, 실난초류가 포함된다. 전형적인 사막 동물군은 곤충(절지동물류), 파충류, 조류, 많은 설치류, 소수의 큰 포유류로 되어 있다.

건생식물(xerophyte)
건생식물(xerophyte)

설치류는 야행성 특징이 잘 발달되어 있으나 대부분의 사막 조류와 파충류는 주간에 활동한다. 동물들은 대부분 기회만 있으면 물을 마시지만 물이 없을 때는 다즙식물이나 그들의 먹이가 되는 다른 동물의 피나 조직을 통해 수분을 공급받는다. 많은 곤충류와 어떤 설치류(예를 들면 캥거루쥐와 주머니쥐)는 물질대사를 통해 생긴 물을 이용하고, 심지어 낙타는 등의 혹에 축적되어 있는 지방을 산화시켜 귀중한 물을 만들어낸다. 물의 보존은 다양한 방법으로 이루어진다.

파충류와 몇몇 곤충류는 불투수성 외피를 가지며, 포유류는 배설하기 전에 오줌 내의 물을 재흡수해 오줌을 농축시킨다. 또한 파충류는 물의 손실 없이 요산 결정으로 질소 노폐물을 배설한다. 야행성은 갈증을 피하기 위한 방법이 되며, 땅다람쥐와 같은 몇몇 동물은 극도로 덥고 가뭄이 계속되는 기간 동안에는 하면을 취한다.

사막 이구아나(desert iguana)
사막 이구아나(desert iguana)
지도 사진 사막(위치) 면적(㎢)
남아메리카
이미지 이미지 파타고니아(아르헨티나 남부) 673,000
이미지 이미지 아타카마(칠레 북부) 140,000
북아메리카
이미지 이미지 그레이트 베이슨(미국 남서부) 492,000
이미지 이미지 치와와(멕시코 북부) 450,000
이미지 이미지 소노라(미국 남서부와 바하칼리포르니아) 310,000
이미지 콜로라도(미국 캘리포니아 주 및 멕시코 북부) -
이미지 유마(미국 애리조나 주 멕시코의 소노라) -
이미지 모하비(미국 남서부) 65,000
아시아
이미지 이미지 아라비아(아시아 남서부) 2,330,000
이미지 이미지 룹알할리(아라비아 반도 남부) 650,000
이미지 이미지 고비(몽골과 중국 북동부) 1,300,000
이미지 이미지 카라쿰(투르크메니스탄) 350,000
이미지 이미지 키질쿰(우즈베키스탄과 카자흐스탄) 300,000
이미지 이미지 타클라마칸(중국 북부) 270,000
이미지 카비르(이란 중부) 260,000
이미지 시리아(사우디아라비아·요르단·시리아 및 이라크) 260,000
이미지 이미지 타르(인도와 파키스탄) 200,000
이미지 루트(이란 동부) 52,000
이미지 이미지 네게브(이스라엘) 12,300
아프리카
이미지 이미지 사하라(아프리카 북부) 8,600,000
이미지 리비아(리비아·이집트·수단) -
이미지 이미지 칼라하리(아프리카 남서부) 930,000
이미지 이미지 나미브(아프리카 남서부) 135,000
오스트레일리아
이미지 그레이트빅토리아(남오스트레일리아 및 오스트레일리아 서부) 647,000
이미지 그레이트샌디(오스트레일리아 북부와 서부) 400,000
이미지 이미지 기브슨(오스트레일리아 서부)
이미지 이미지 심프슨(오스트레일리아 북부) 145,000
세계의 사막

환경요인

지형

사막에는 여러 가지 지형이 발견된다.

그 예로는 산맥이나 대지처럼 습윤한 지역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일반적인 지형과 선상지·페디먼트·사상(沙床)·사구·플라야 같은 건조기후에만 존재하는 특수한 건조지형을 들 수 있다.

건조성과 원인

사막의 형성은 대기순환으로 조절된다.

적도 부근에서 태양의 복사로 가열된 공기는 상승하여 냉각되며, 이때 수증기의 응축이 일어나 열대지방에 비를 내리게 된다. 그후 공기는 남위·북위 30° 근처에서 지표면으로 하강해 2개의 커다란 아열대 고압대를 형성한다. 세계의 큰 사막의 일부는 이러한 고압대에 위치하는데, 사하라 사막, 나미브 사막, 칼리하리 사막, 아타카마 사막이 이에 포함된다.

한편 아프리카나 남아메리카의 동쪽 연안처럼 바다로부터 무역풍이 불어오는 지역에서는 이에 포함되어 있는 습기 때문에 사막이 형성되지 않는다.

아르헨티나의 파타고니아 사막과 같은 일부 사막은 건조대와 관계없는 고지에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이들은 따뜻하고 습기를 함유한 바람이 사면을 타고 올라가면서 냉각되어 수증기가 응축되면서 산악지역에 비를 내리고, 습기가 제거된 건조한 공기만이 능선 반대편의 내리바람 쪽을 따라 하강하는 비그늘 효과에 의해 형성된다. 이밖에 바다와 멀리 떨어진 대륙 내부에서는 습기의 부족으로 사막이 형성되기도 하는데, 중앙 아시아의 타클라마칸 사막과 고비 사막 등이 이에 해당된다.

수리적 요인들

건조지역의 수리를 조절하는 요인은 기후·지형·지질이다.

사막의 강수는 단속적이기 때문에 대규모의 흐름은 큰 비가 내린 후에만 생긴다. 사막의 이슬은 대기 중의 수증기나 토양에서 증발한 수증기가 응축되어 생기며, 사막의 주요한 수원(水源)으로 작용한다. 그러나 이슬의 형성량은 증발량에 비해 매우 적으므로, 이슬이 사막 전체의 물수지에 미치는 영향은 미미하다. 일반적으로 사막에서는 총증발량이 총강수량보다 크며, 이러한 관계는 사막지역을 정의하는 기후조건의 하나로 생각된다.

이러한 이유로 호수와 같은 자연적인 수권은 대체로 존재하지 않는다. 증발은 수면에서 많이 일어나지만, 토양 표면에서도 상당히 많이 일어난다.

또한 뜨겁고 건조한 바람이 불 경우에는 증발량이 상당히 증가하는 양상을 보여준다. 지형요인은 앞서 언급한 비그늘효과로 건조성을 증가시키기도 하지만, 건조지역 내에 고지(高地)가 있는 경우에는 강수를 촉진시키기도 한다. 그 예로 사하라 사막 중앙에 위치한 높이 3,415m의 티베스티 대산괴(大山塊)는 주변에 비해 강수량이 많으며, 따라서 극히 건조한 지역 내에 아건조기후의 '섬'을 형성하기도 한다.

암석의 종류, 지질구조, 토양의 종류, 공극률 및 투수성과 같은 지질학적 요인 역시 사막의 수리에 영향을 미친다. 투수성이 좋으며 열극(裂隙)이 있는 지층은 물을 효과적으로 흡수하여 증발량을 감소시킴과 동시에 많은 양의 물을 지하수로 유입시키지만, 투수성이 좋지 않은 지층은 배수량을 증가시키며, 따라서 증발량을 증가시키게 된다.

지표수

사막지역의 하천은 대체로 태풍이나 집중호우로 형성되는데, 이는 증발과 누수로 없어지는 수량보다 강수량이 많을 경우에 일시적으로 형성된다.

사막의 하천은 주로 큰 비가 내린 직후에 형성되므로 대체로 난류성(亂流性)을 띠며 최대 만제유량(滿堤流量) 및 대규모 홍수의 발생빈도는 극히 드물다. 일시적이고 바다로 연결되지 않은 사막의 하천 특성은 영구적이고 바다로 연결되는 습윤한 지역의 하천과는 뚜렷이 다르다. 사막의 호수나 소택지는 지표수가 저지에 모여 고여서 형성된다. 사막의 호수는 대부분 배수구가 없고, 호수로 유입되는 물은 염분을 계속 공급하며, 물의 계속적인 증발로 염분이 농집되어 염도가 200~300‰로 상당히 높은 염수호가 된다. 그러나 충분한 비가 내리거나 지하수가 호수로 유입될 경우에는 담수호가 형성된다.

지하수

지하수는 사막의 여러 곳에 분포하며, 사막지역에서 쉽게 이용할 수 있는 주요수원이다.

사막의 지하수는 다른 지역과 마찬가지로 지표부근에 있는 토양수, 토양수 하부에 있는 건조대의 피압수(被壓水) 및 건조대 하부에 있는 일반적인 의미의 지하수로 세분된다. 사막의 일반적인 지하구조 및 지층의 분포는 분지(盆地)와 유사한 특성을 가진다. 역전된 대수층이 강수량이 큰 지역에서 노출되어 있으면, 다량의 물이 주로 이곳을 통하여 지하수로 유입된다. 사막의 지하수는 2만~3만 5,000년 전의 홍적세에 대수층을 통하여 유입된 물로서 화석수의 성격을 띤다.

대수층 내에서 압력차에 의하여 솟아오르는 샘을 자분정(自噴井)이라 하는데, 이는 사막의 지표에 물을 공급하여 샘이나 오아시스를 형성하기도 한다.

기후양상과 생물상

대륙내부에 있는 한성(寒性) 사막은 가뭄이 극심하고 일교차가 매우 크며, 더욱이 겨울 동안 기온이 매우 낮아서 상대적으로 눈이 많이 오는 곳보다 적설보호를 받지 못하기 때문에 더 심한 장애를 겪는다.

반면 열대사막의 경우에는 추위는 별로 문제되지 않으나 맑은 날씨로 인해서 복사가 매우 강해 생물이 심한 장애를 받으며, 낮 동안의 고온 및 극심한 기온의 일교차도 생물에는 심한 악조건이 된다. 사막의 토양은 투수성과 공극률이 매우 높아서 물이 과다하게 지하로 빠져나간다.

사막의 토양은 물리적인 작용 또는 조류(藻類)와 지의류(地衣類)의 발달로 지표에 불투수성의 표면층이 형성되어 과다한 배수를 유발하는데, 이들은 모두 생물서식에 적합하지 못한 조건을 형성한다. 일반적으로 선구생물(先驅生物)은 정착지의 모토양을 개척해 새로 들어오는 생물에 적합한 조건을 만들며, 점차 복잡한 생물이 정착하여 극상군락(極相群落)을 이루게 된다. 사막의 혹독한 조건은 생물활동에 의해 크게 개선되지 않으므로, 선구생물 자체만이 극상군락을 이루는 경우도 많다.

생물상의 공간적인 분포

사막의 많은 생물은 환경에 대해 조직적·행동적인 반응을 한다.

그 예로 사막의 다년생식물은 공간적으로 넓게 분포하는 경향을 보이며, 강수량이 적을 경우에는 더욱 넓게 분포한다. 수로 주변에서는 식물이 토양 속의 물을 이용할 수 있으므로, 비교적 밀집하는 경향을 보인다. 또한 사막의 식물은 토양과 지형의 영향도 받는다. 남쪽 사면은 북쪽 사면보다 식물의 서식에 적합하므로 식물이 많이 분포한다. 토양은 장소에 따라 물리적·화학적 특성이 다르므로, 장소에 따라 다른 종류의 식물이 서식한다. 동물의 서식지도 식물의 분포와 동물의 자유이동으로 인해 다양한 양상을 보여준다.

식물은 동물에게 먹이·그늘·은신처를 제공하므로 동물의 생존조건을 형성해 주거나 변화시켜 주는 역할을 한다. 또한 다른 지역의 동물에 비해 사막의 동물은 넓게 퍼지는 경향을 보여주며, 각 개체는 다른 지역에서보다 더 넓은 고유영토를 갖는다.

종류

한성사막

주로 아시아의 내륙과 북아메리카 산간지역에 생기는 유형의 사막이다. 겨울의 기온은 보통 0℃ 이하이며, 여름 기온은 40℃에 달할 정도로 비교적 높다. 강수량은 200~300㎜ 정도이며, 눈이 강수의 많은 부분을 차지한다. 주요식생은 관목이지만, 봄에 눈이 녹을 때는 1년생 식물이 많이 번성하기도 한다.

관목사막

주로 열대지방에 생기는 유형의 사막이다.

가시가 있는 관목류가 우세하며, 풀과 현화식물도 일부 분포하고 대형 초식동물도 상당히 많다.

선인장사막

선인장과 같이 줄기다즙성 식물이 우세한 사막이다. 미국 애리조나 주와 멕시코 북서부 사이에 위치한 소노란 사막과 남서아프리카의 나미프 사막이 이에 해당한다.

소노라 사막(Sonoran Desert)
소노라 사막(Sonoran Desert)
나미브 사막(Namib Desert)
나미브 사막(Namib Desert)
초본사막

다년생 초본이 우세한 사막이다.

오스트레일리아 남부의 널라버플레인이 이러한 유형에 포함된다. 초본사막에는 초본 이외에 명아주과의 다년생종도 일부 발견된다.

염분사막

토양 중에 염분이 풍부한 사막이다. 높은 염분으로 인해 식생은 매우 드물지만, 염분이 다소 낮은 주변부나 비가 많이 오는 계절에는 명아주과와 같은 일부 식물이 분포하기도 한다.

사구

사막의 사구에는 바람에 의한 모래의 운반 및 모래의 높은 투수성으로 식생이 거의 없으므로 지표면 중 가장 식생이 적은 지역 가운데 하나이다.

와디 및 수로

사막의 와디 및 간헐천(間歇川) 주변의 흐름이 약한 곳에는 뿌리가 깊은 관목 및 교목이 발달하는데, 이중 일부는 지면 아래 수m 깊이의 지하에서 물을 끌어올릴 수 있는 능력을 이용해 가뭄을 견뎌낸다.

또한 수로 주변에는 식생과 연관해 새 및 다른 동물이 서식하기도 한다.

사막의 수성환경

사막의 수성환경에는 조류(藻類), 곤충의 유충, 양서류가 서식한다. 그러나 이러한 수성환경은 높은 염분 및 지리적인 고립으로 인해 다른 수성환경의 생물군보다는 단순한 생물군을 보여주고 있다.

생물군과 적응

원생생물

사막의 토양내에 사는 미생물은 다른 환경의 토양에서와 같이 다양하며, 대표적인 예로는 일부 사막의 표면에 있는 남조류를 들 수 있다.

식물
선인장(cactus)
선인장(cactus)

사막에서는 남조류 이외에도 조류가 물이 있는 지역에서 제한된 분포를 보인다.

기생성 균류는 다른 환경에서와 같이 풍부하며, 죽은 생물에서 먹이를 섭취하는 부생성(腐生性) 균류도 약간 있다(균류). 지의류는 사막표면에 많으며, 이끼류는 습기가 많은 곳에 제한되어 있다. 양치류는 암석의 틈과 같은 곳에서 적지않게 나타난다.

소나무와 소철류를 포함한 겉씨식물은 드물다. 속씨식물의 선인장과·명아주과·남가새과의 몇몇 과(科)는 사막에 특징적인 식물이다. 사막의 식물도 다른 지역의 식물과 마찬가지로 광합성을 해야 하며, 이산화탄소를 흡수해야 한다.

그러나 사막은 고온·건조하므로 이산화탄소를 흡수할 때 기공(氣孔)으로 물이 증발하는 문제점이 있기 때문에 사막의 식물은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이를 해결한다. 첫째, 물이 적은 건기(乾期)를 불활성인 씨 상태로 지나는 방법이다. 이러한 방법은 주로 1년생 식물이 채택하는 방식이다. 둘째, 건기중에는 아주 제한된 수준의 기체 교환만이 일어나는 조직, 즉 낙엽을 형성하는 방법이다. 셋째, 이산화탄소의 흡입과 광합성작용을 분리하는 방법으로 이 방식을 채택한 사막의 식물들은 밤에는 기공을 열어 이산화탄소를 흡수해 카르복시산의 형태로 저장하고, 낮에는 기공을 닫은 채로 이미 저장된 이산화탄소를 이용해 광합성을 하게 된다.

넷째, 건기 동안 각피(角皮)나 밀랍질층을 발달시키거나 혹은 잎을 오므림으로써 물의 증발을 줄이는 방법이다. 다섯째, 건기중 기공을 통한 물의 손실을 방지함과 동시에 일부 조직에 물을 저장하는 방법으로서 이 방법은 석류풀과·돌나물과·선인장과의 식물군이 이용한다. 한편 일부 사막식물은 매우 긴 뿌리를 가짐으로써 물부족을 겪지 않기도 하는데, 실제로 사막의 식물은 흔히 다른 지역의 식물보다 상당히 긴 뿌리를 가진다.

물의 손실 이외에 사막의 또다른 위험요소로는 강력한 태양빛에 의한 고온효과(高溫效果)가 있다. 사막의 식물은 다양한 방식으로 이러한 고온효과를 이겨내는데, 그 예로 일부 다년생 식물은 밑부분에 그늘을 형성해 뜨거운 햇빛을 피한다. 토양의 높은 염도 역시 일부 사막생물에 장애요인으로 작용하지만, 많은 식물은 농도가 매우 높은 수액(樹液)을 가짐으로써 염도가 높은 토양으로부터 뿌리를 통해 물을 흡수한다.

무척추동물

사막의 무척추동물은 주로 물이 있는 일부 수성환경에 서식하며, 육상에는 별로 나오지 않는다.

편형동물은 주로 동물의 체내에 기생하며, 선형동물도 기생충 및 토양 내의 독립된 개체로 살지만 물의 부족으로 그 수는 그리 많지 않다. 지렁이를 비롯한 환형동물도 일부 조건이 좋은 지역에 한해 발견되며, 달팽이도 상당히 있다. 절지동물은 상당히 많이 나타난다. 갑각류의 일종인 소금새우는 염수에 흔하며, 등각류(等脚類)도 상당히 널리 분포한다.

지네와 같은 다지류(多肢類)와 거미나 전갈을 포함하는 주형류(蛛形類)는 사막에 상당히 많다. 곤충류 역시 많은데, 흰개미·딱정벌레·나비·나방·파리·개미·꿀벌·말벌·메뚜기가 널리 분포하며, 잠자리나 하루살이의 유충(幼蟲)은 물이 있는 환경에 제한되어 있다. 절지동물은 비교적 쉽게 사막에 적응하는데, 일부는 식물처럼 방수성의 표피나 피부를 가지며, 일부는 조건이 혹독한 계절을 알이나 번데기로 지내기도 하고, 또한 일부는 땅속에 구멍을 파고 그 안에 들어가 생활하기도 한다.

척추동물

어류는 염분이 낮고 장기간 충분한 습기를 유지할 수 있는 물에 서식하는데, 일부는 생태계의 고립으로 풍토적인 특성을 띠기도 한다.

개구리와 두꺼비 같은 양서류는 사막에 물이 부족함에도 불구하고 적지 않게 서식하고 있다.

사막에 사는 양서류는 비가 내리자마자 알을 낳고, 이들이 부화해 물이 마르기 전에 유생생활을 마치는 기회적인 생활을 한다. 양서류의 피부는 증발량이 큰 사막에서는 견디기 힘들기 때문에 비가 오지 않는 기간에는 움직이지 않고 은둔생활을 하거나 토양에 깊은 구멍을 파고 생활한다. 파충류는 사막의 동물 중에서 가장 대표적인 종류이다.

카멜레온(chameleon)
카멜레온(chameleon)

도마뱀과 뱀은 사막에 많이 살며, 거북과 악어도 열대사막의 물에 흔히 서식한다. 파충류의 비늘 피부는 수분의 손실을 방지하는 데 상당히 효과적이다. 조류는 둥지를 만들 만한 키 큰 나무나 관목의 부족으로 다양하지 못하다. 사막에 흔한 새로는 뛰어다니는 타조 및 에뮤(emu)가 있고 까치처럼 썩은 고기를 먹고 사는 종류, 매·독수리 같은 맹금류(猛禽類)가 있다.

일부 조류는 나무의 부족으로 지상에 둥지를 만들기도 하며, 일부는 건기에 번식을 하지 않는 특이한 생리적 적응을 보여주기도 한다. 포유류는 사막에 많이 분포하며, 행동이나 생리에 있어 상당한 변화를 보여준다. 포유류로는 박쥐·쥐·토끼·영양·염소·낙타·사자·하이에나·여우가 있다. 강한 햇빛을 피해 주로 밤에 생활하며, 초식동물은 먹이를 찾아 재빨리 이동하는 방랑성을 가진다.

사막환경에 가장 잘 적응한 포유류로는 낙타를 들 수 있다.

낙타(camel)
낙타(camel)
인간

인간의 경우에도 여러 민족이 사막생활에 적응해 있는데, 그 예로는 북아프리카 및 서아시아 서부의 코카서스족, 오스트레일리아의 원주민, 아프리카의 흑인종, 중앙 아시아의 몽골족을 들 수 있다.

인간의 사막에 대한 적응은 생리적이라기보다는 행동적·문화적인 것으로, 유목생활이나 관개사업을 통해 사막을 개간해 적응하게 된다. 또한 벽이 두꺼운 집을 만들거나, 물을 저장하거나, 흰색 옷을 입거나, 낙타와 같은 사막동물을 길들임으로써 사막의 혹독한 환경을 견디기도 한다.

사막생태계의 생산성

사막의 태양복사 에너지 및 기온과 같은 조건은 지구상에서 가장 좋음에도 불구하고 물이 부족하기 때문에 자연적인 생산성은 낮다. 예를 들어 북아메리카 한성사막의 생물량은 1,000~3,000㎏/h이나 같은 위도 산림에서의 생물량은 5만~10만㎏/h 정도로 많은 차이를 보여준다. 일반적으로 사막의 식물 생산량은 약 1,000㎏/h이며, 동물 생산량은 10㎏/h 정도에 불과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