말초신경

말초신경

[ peripheral nerve , 末梢神經 ]

요약 감각과 운동 자극을 중추신경으로 연결하는 통로가 되는 기관
계통 신경계

정의

말초신경은 신체의 표면과 골격근, 각종 내부 장기로부터 수집된 감각을 중추신경으로 전달하고, 중추신경의 운동자극을 다시 이들에게 전달하는 통로 기관을 말한다. 말초신경에는 감각을 전달하는 신경과 운동 신호를 전달하는 신경이 있다.

위치

전신에 분포되어 있다.

형태 및 구조

말초신경은 척수신경, 뇌신경, 자율신경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중추신경과는 달리 뼈나 뇌혈관장벽으로 보호받지 않는다. 척수신경은 31쌍, 뇌신경은 12쌍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자율신경은 교감신경부교감신경으로 구성되어 있다.

중추신경과 마찬가지로 뉴론과 시냅스로 구성되어 있고, 신경 그물망으로 서로 연결되어 있다. 말초신경의 세포 몸체가 종종 모여 있는데 이를 갱글리아(신경절)라고 부른다. 이 신경절의 종류에 따라 감각신경운동신경으로 구분하기도 한다. 감각신경의 신경절은 척수의 등쪽에 위치해 있으며, 운동신경의 신경절은 척수의 배쪽에 위치해 있다.

말초신경의 구조

말초신경의 구조

하위 기관

척수신경, 뇌신경, 자율신경

기능

말초신경은 그 기능에 따라 체성신경자율신경으로 구분될 수 있다. 체성신경의 기능은 인체의 움직임을 조정하고 외부 자극을 받아들이며, 의식 하에서 이들을 조율하는 것이다. 자율신경은 중추신경의 조절이 없이도 독자적으로 기능하며 교감신경부교감신경으로 나눌 수 있다. 교감신경의 기능은 위험에 대처하는 반응과 관련이 있어서 동공을 확장시키고 심박동을 증가시키고 혈압을 높이며 외부 자극에 민감해지게 된다. 부교감신경은 이와는 반대로 휴식과 긴장을 풀게 하며, 동공을 축소시키고, 심장박동을 느리게 하고, 혈관을 이완시키고, 소화기관을 자극시킨다.

관련 질병

소아마비, 진행성근위축증, 수근관증후군, 나병, 근이양증, 다발성근염, 중증근무력증

관련 검사

근전도, 신경전달속도검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