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화기관

소화기관

[ digestive system , 消化器官 ]

요약 음식물의 소화와 흡수를 담당하며, 구강에서 식도, 위, 소장, 대장을 거쳐 항문까지 이루어진 신체기관

정의

소화기계는 전반적으로 점막, 점막하층, 근육, 장막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각각에 동정맥과 림프, 신경이 분포한다. 소화운동, 소화액분비 및 흡수의 기능을 통해 섭취된 음식물을 흡수 가능한 인자로 만들어 신체 내부로 이동시키는 작용을 한다.

소화기관의 종류

소화기관의 종류

구성요소

구강에서 시작하여 인두, 식도, 위, 소장과 대장, 그리고 항문이 포함된다. 위장관에는 타액선, 간, 췌장 등이 도관으로 연결되어 소화액을 위장관 내로 분비하고 있다.

하위 기관

- 구강 : 혀로 음식 맛을 느끼며, 치아와 턱의 저작기능으로 인해 음식물을 잘게 부수는 작용을 한다. 침이 분비되어 음식물과 섞이고 탄수화물의 소화를 돕는다.

- 인두 : 구강에서 식도로 연결되는 부위를 지칭한다.

- 식도 : 구강, 인두를 거쳐 넘어온 음식물을 연동운동을 통해 위로 전달하는 기능을 하며, 소화효소는 분비되지 않는다.

- 위 : 위로 들어온 음식물은 위에서 분비된 위액과 섞이게 되고 좀더 작은 입자로 소화가 일어난다. 위액은 단백질을 분해하고, 위산은 우리 몸에 들어온 병균을 죽이는 역할을 하기도 한다.

- 샘창자(십이지장) : 위에서 소화된 음식물이 내려와서 소장으로 연결되는 통로이며, 쓸개즙과 이자액이 분비되는 통로가 있어 단백질과 지방의 소화를 돕는 소화효소가 분비된다.

- 작은창자(소장) : 빈창자(공장)과 돌창자(회장)으로 이루어지며, 길이는 6m 정도이며, 구불구불하고 소화된 음식물을 영양소로 분해하여 대부분의 영양소가 소장에서 몸으로 흡수된다.

- 큰창자(대장) : 작은창자에서 대부분의 영양소가 흡수되며, 나머지가 큰창자로 보내지게 되는데, 큰창자의 점막에서는 소화액이 분비되지 않고, 점액이 약간 분비되어 수분을 흡수하는 기능을 한다. 장내세균에 의해 분해된 이산화탄소, 메탄, 수소 등의 가스가 발생한다. 소화되고 남은 찌꺼기들이 대장의 끝부분인 곧창자(직장)로 모여 대변이 된다.

- 항문 : 소화기관의 가장 마지막 부분으로 항문조임근이 있어 닫혀 있다가 곧창자에 대변이 차게 되면 부피와 압력에 의해 배변반사가 일어나 항문이 이완되면서 대변이 몸 밖으로 배출되게 된다.

구조

발생과정에서 위장관은 내배엽에서 기원하는데, 이는 인두장, 전장, 중장, 후장으로 나뉜다. 전장으로부터 식도, 기관, 위, 샘창자의 제2부까지 발생하며, 간, 이자(췌장), 쓸개관이 샘창자의 내배엽상피에서 기원한다. 위는 발생 4주경에 전장이 확장된 모습으로 나타난 후 위벽 내의 여러 부분에서의 발생속도의 차이와 주변 장기의 위치가 변화하면서 시계방향으로 회전되어 소만과 대만의 구조가 이루어지게 된다. 위가 회전하면서 샘창자는 오른쪽으로 회전하여 이자와 함께 후복막에 고정된다. 중장은 샘창자 제2부에서부터 가로창자의 근위 2/3부위를 발생시키며, 후장은 가로창자의 원위 1/3부터 항문관의 윗부분까지 발생시킨다.

기능

인체는 필요한 영양소를 음식물을 통하여 얻게 되는데, 소화기관은 음식물을 작은 입자로 분해하여 영양소로 만들어 흡수되도록 만드는 기관이다. 흡수된 영양소는 혈액림프로 이동을 하게 된다. 연동운동을 통해 음식물을 이동시키고, 소화액이 분비되어 많은 효소들에 의해 단백질, 지방, 탄수화물이 분해되며, 물, 무기질, 비타민이 소화기관의 점막을 통해 흡수된다. 기능은 크게 조절기능과 소화운동, 소화액 분비 그리고 흡수로 나눌 수 있다.

관련 질병

운동성 질환, 역류성 식도질환, 식도암, 위염, 위궤양, 위암, 흡수장애, 궤양성 대장염, 크론병, 결핵성장염, 베체트장염, 호산구성 위장염, 혈관성 장질환, 장폐쇄, 알레르기 등

관련 검사

위내시경, 대장내시경, 캡슐내시경, 내시경초음파, 단순복부촬영, 바륨을 이용한 검사, 초음파검사, 컴퓨터 단층촬영(CT), 자기공명영상(MRI)

동의어

소화기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