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감신경

교감신경

[ sympathetic nerve , 交感神經 ]

요약 심장, 민무늬근육, 분비샘과 같은 구조물을 조절하는 신경
계통 신경계

정의

교감신경은 신체가 위급한 상황일 때 이에 대처하는 기능을 한다. 교감신경이 흥분하면 근육의 세동맥은 확장되고 심장박동수가 증가하며 피부와 소화관의 세동맥은 수축하여 혈압이 상승한다. 따라서 피부나 위장관의 혈액이 뇌, 심장, 근육으로 집중되는 현상이 일어난다. 또한 동공의 확대, 항문방광조임근의 수축이 나타나며 소화기관과 방광의 민무늬근육이 이완된다. 털세움근도 영향을 받아 털이 일어서고 땀이 분비되는 현상이 일어난다.

위치

척수에서 시작하여 장기, 혈관, 땀샘에 광범위하게 분포한다.

교감신경은 첫째 가슴분절부터 둘째 허리분절까지의 척수의 가쪽회색질 기둥에서 유래한다. 교감신경은 척수의 밖으로 나와 교감신경줄기의 신경절에 도달한다. 이후 척수신경의 분지를 따라 혈관벽의 민무늬근육, 땀샘, 털세움근 등에 분포한다. 신경절 이후에 목이나 허리 아래쪽으로 이동하여 목신경이나 허리신경, 엉치신경, 꼬리신경에 합류하기도 한다. 부신속질은 신경절을 거치지 않은 신경의 지배를 받기도 한다.

형태 및 구조

교감신경은 척수에서 시작되는 날신경섬유와 교감신경절을 포함한 좌우 교감신경줄기, 분지, 교감신경얼기 및 국소신경절 등으로 구성된다.

기능

교감신경 및 부교감신경은 서로 협력하여 내부 환경의 안정성을 유지한다. 교감신경은 신체가 갑작스럽고 심한 운동이나 공포, 분노와 같은 위급한 상황에 대비하고 반응하게 한다. 부교감신경은 위장관의 분비와 연동운동을 촉진함으로써 소화와 흡수를 촉진하는 것과 같이 에너지를 절약하고 저장하는 작용을 수행한다.

교감신경 및 부교감신경은 일반적으로 한 장기에서 서로 반대로 작용한다. 예를 들면, 교감신경은 심장박동을 촉진하지만, 부교감신경은 심장박동을 억제한다. 교감신경계통은 기관지의 민무늬근육을 이완시키는 반면, 부교감신경은 이를 수축시킨다.

교감신경과 부교감신경의 주요 작용에 대한 모식도

교감신경과 부교감신경의 주요 작용에 대한 모식도

관련 질병

호너증후군, 아르길 로버트슨 동공, 에디긴장동공증후군, 프라이증후군, 히르슈슈프룽병(거대결장) 등

관련 검사

자율신경계기능검사 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