쇄국정책

쇄국정책

[ 鎖國政策 ]

시대명 근대/개항기

다른 나라와 통상 및 교류를 하지 않는 외교정책.

조선 말기 대원군 이하응이 청나라를 제외한 다른 나라와 통상 · 교류를 꺼려 강경한 쇄국정책을 펴나갔다. 19세기 전반기에 근대 국가로 성장한 영국 · 프랑스 · 미국 · 등 서구열강은 상품시장과 원료공급지를 구하기 위해 군함을 앞세우고 아시아 각국을 침입했다. 영국은 1842년 으로 중국의 문호를 개방시키고, 이어 영 · 불 연합군이 북경을 점령, 굴욕적인 북경조약을 맺게 했다. 이러한 사태와 더불어 서양함선이 (異樣船)의 잦은 출몰과 그들의 통상요구는 조선 위정자에게 위기의식을 갖게 했다.

이같은 상황에서 당시 집권자인 대원군은 서양과의 교역을 엄금하고 나라의 문호를 굳게 걸어 잠그는 한편, 열강의 앞잡이라 생각한 천주교에 대한 혹독한 탄압을 가해 이른바 를 불러일으켰다. 이 사건으로 프랑스인 신부 9명이 처형당함으로써 프랑스 함대가 내침, 가 일어났으며, 이어 미국상선 으로 71년(고종 8) 미국 아시아 함대 사령관 로저스가 군함 5척을 끌고 와 가 일어났다.

대원군은 두 차례의 양요에서 양이(洋夷)를 물리치는 데 성공하여 크게 자신감을 얻고 전국에 (斥和碑)를 세워 쇄국의 결의를 더욱 굳게 다졌다. 한편 은 조선의 문호를 열기 위해 여러 차례 사신을 보내왔지만 번번이 거절당하자 일본정부 안에서는 (征韓論)이 대두되기에 이르렀다. 그러나 대원군이 하야하고, 75년(고종 12) 일본이 도발한 으로 일본과 한 · 일수호조약(강화도 조약)을 맺음으로써 쇄국정책은 막을 내리고, 조선은 아무런 준비 없이 세계 자본주의 체제 속에 강제로 편입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