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관

상관

[ physiognomy ]

야외에서 식생을 구분할 때 눈에 보이는 그대로의 상태로서 식생을 구분하는 방법를 말한다. 예를 들어 겉보기에 소나무가 우점하면 소나무군락으로, 소나무와 굴참나무가 섞여 있으면 소나무-굴참나무 군락 혹은 굴참나무-소나무 군락으로 구분할 수 있다. 우리나라의 환경부에서 작성하는 현존식생도는 상관에 의한 식생 유형 구분을 채택하고 있다.

강원도 강릉시 옥계면 급경사지에 형성된 굴참나무군락. 상관상으로 전체가 굴참나무가 우점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고, 그 경계선을 찾을 수 있다. 굴참나무의 잎 뒷면에 털이 있어서 바람에 날리면 멀리서도 굴참나무군락임을 눈으로 쉽게 확인할 수 있다. (출처 :한국식물학회, 이규송)

목차

상관의 정의

상관은 식생(식물군집)의 겉모습을 의미하고, 식생을 분류하고 그 특성을 표현하는 데 이용한다. 상관적 특성에는 식생의 수직적인 구조와 수평적인 구조, 잎의 크기, 모양, 색감 및 질감, 낙엽성 및 상록성 등이 포함된다. 상관적 특성들은 식생(식물군집)의 구조적 그리고 기능적 특성들에 기인한다.1) 상관에 의하여 파악하는 식생(식물군집)의 주요 특성은 우점종, 생활형, 층상구조, 피도, 공간분포 등이다.2)

식생과 서식지를 표현하는 수단으로서의 상관

식생은 특정 공간에 모여 사는 식물 종들의 집합으로서 식물군집이라고 할 수 있다. 식생(식물군집)의 구분과 기술은 대부분 상관적 속성에 의하여 이루어진다. 기본적으로 상관에 의하여 얻어진 자료들은 일반화시킬 수 있다. 상관은 식생(식물군집)에서 쉽게 측정 가능한 특성에 기초하여 빠르고 유익한 설명을 가능하게 해 준다. 상관에 의한 특성의 수집은 숙련가나 전문가가 아니라도 쉽게 할 수 있다. 그러한 이유로 비전문가나 다른 분야의 이용자들에게도 활용이 가능한 식생의 표현 방법이다.1) 상관에 의하여 파악하는 식생의 주요 특성은 우점종, 생활형, 층상구조, 피도, 공간분포 등이다.2) 식생의 상관적 특성과 더불어 입지요인과 물리화학적 환경요인을 측정하면 서식지의 특성을 잘 파악할 수 있다.

상관에 의한 군집 유형의 구분

Braun-Blaquet의 식물사회학적 조사법에 따르면, 식생이 상관상 균질한 장소에 방형구를 설치하여 식생 조사를 할 것을 권고하고 있다. 따라서 야외 현장에서 식생(식물군집)을 조사할 때 식생의 균질성 여부를 상관에 의해 판단한다. 식물사회학적 식생의 분류와 명명은 표조작법에 의한 표징종의 구분과 식생명명법에 이해 이루어진다. 따라서 그 방법이 복잡하고 일반인이 식생을 분류하기 어렵다.

야외 현장에서 상관에 하여 우점종으로 식생을 구분할 수 있는데, 이를 상관에 의한 식물군락 분류라고 한다. 상관에 의한 식물군락 분류에서 식물 우점종을 중요시하는 이유는 우점종이 밀도와 피도가 높을 뿐만 아니라 서식지에서 에너지 흐름과 물질순환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고, 서식지의 빛, 열, 영양소, 토양, 바람 및 습도의 크기에 영향을 미치는 종이기 때문이다.2)

상관에 의해 식물군락을 분류하고 그것을 도면화한 것을 현존식생도라고 한다. 우리나라 환경부에서는 전국을 대상으로 주기적으로 상관에 의하여 파악한 현존식생도를 작성하고 있고, 그것을 국토관리에 활용하고 있다.

상관으로 군락유형을 구분하여 작성한 충청남도 보령군 원산도 해수욕장(사구)의 현존식생도. (출처 :한국식물학회, 이규송)

드론과 인공위성 사진

드론과 인공위성 사진을 이용하면 상관에 의한 식생의 구분과 측정기술을 한 단계 업그레이드할 수 있다. 드론과 위성사진에 따른 우점종의 구분, 생태유형의 구분 등도 넓은 의미의 상관에 의한 구분이라 할 수 있다.

드론으로 촬영한 강원도 양양군 매호의 수변부 식생 모습. (출처 :한국식물학회, 홍보람)

참고문헌

1. Moore PD, Chapman SB (1986) Method in Plant Ecology. 2nd ed. Blackwell Scientific Publication. p 442–448
2. 여천생태연구회 (2005) 현대생태학실험. 교문사. p 27-3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