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물군락

식물군락

[ plant community ]

식물군락은 어떤 공간과 시간에서 함께 나타나는 식물 종의 집단이다. 각각의 식물군락은 환경에 따라서 독특한 종구성, 구조 및 기능을 가지므로 구별된다. 식물군락을 명명하기 위해서 해당 군락의 단층 및 다층을 대표하는 식물종의 이름을 사용한다. 공간과 환경요인이 변함에 따라 우점하는 식물군락이 달라진다. 시간이 지남에 따라 우점하는 식물군락이 달라지기도 하며, 이를 천이라고 한다.

목차

정의

식물군락은 어떤 공간과 시간에서 함께 나타나는 식물종의 집단이다.1) 특정 식물군락은 이웃하는 식물군락과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종을 공유하면서도 기후, 토양, 지형 등의 서식환경의 차이에 따라 제각기 독특한 종 조성을 가진다. 또한 그 기능과 구조에서도 뚜렷한 차이를 보이는데 이는 각각의 식물군락을 구성하는 식물 종이 제각기 고유한 생태적인 특징을 가지기 때문이다.2)

갈대군락과 좀매자기 군락의 경계 (출처:양현영)

명명

군락이 단층 구조이면 해당 군락을 대표하는 식물종의 이름으로 명명한다. 대표하는 식물은 우점하고 있거나 생태적 구조와 기능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종으로 선택한다. 이층 이상의 다층 구조의 군락은 가장 높은 층과 가장 낮은 층을 대표하는 식물종의 이름으로 명명한다.2)

군락의 명명
식생구조 한글 명칭 학술적 명칭
단층 식생 나문재군락 Suaeda asparagoides community
다층 식생 선버들-산조풀군락 Calamagrostis epigeios -Salix subfragilis community

나문재군락(단층 식생) (출처:양현영)

선버들-산조풀군락(다층 식생) (출처:양현영)

공간에 따른 군락의 유형

식물군락은 서식환경에 따라 종의 구성과 기능이 달라지기 때문에 공간에 따라 나타나는 군락이 변할 수 있다. 이를 연구하기 위해 두 가지 방법으로 식물군락을 연구한다.1)

  • 경사분석 : 식물군락을 결정짓는데 중요한 환경요인이 있다고 판단될 때 해당 환경요인을 축으로 한 경사분석을 한다. 예를 들어 식물군락을 결정하는데 토양의 수분이 중요한 역할을 한다면, 토양의 수분을 그래프 x축에 두고 식물군락 분포가 어떻게 변하는지를 표현한다. 이는 환경과 식물군락에 대한 관계를 잘 보여주긴 하지만, 연구자가 환경요인을 주관적으로 선택한다는 단점이 있다.1) 만약 연구자가 실제로 중요한 환경요인(예를 들면 고도) 대신, 다른 환경요인(예를 들면 토양의 수분)을 선택했다면, 식물군집의 변화를 충분히 설명할 수 없기 때문이다.

토양 수분함량에 따른 식물 종의 변화 (출처:한국식물학회)

  • 서열분석 : 식물 종 조성이 비슷한 군락끼리 가깝게 위치시키고, 종 조성이 다른 군락끼리 멀리 위치시켜서 군집을 나누는 방법이다. 이 방법은 경사분석의 문제점이었던 주관성을 없앨 수 있다. 따라서 종의 분포와 가장 크게 연관된 환경요인이 무엇인지에 대한 선입견 없이 식물군락의 분석이 가능하다.1)

식물 종 조성에 따른 군집 분류 (출처:한국식물학회)

시간에 따른 군락의 유형

공간에 따라서 군락의 구조와 기능이 변하는 것과 마찬가지로 시간에 따라서도 군락은 변한다. 특히 교란이 일어난 이후에 시간이 지남에 따라 식물군락의 변화가 나타난다. 교란이란 생물체를 제거하거나,3) 공간과 먹이자원에 영향을 미치거나 물리 환경을 변화시켜 군집을 파괴하는4) 사건을 말한다. 대표적인 예로, 일차천이와 이차천이가 있다.

  • 일차천이는 새롭게 노출된 지형에서 식생이 정착하고 식물군락이 변해가는 것이다. 예를 들어 일본 미야케 섬에서 화산폭발이 일어난 후, 처음에는 질소를 고정하는 오리나무 군락이 발달했다가 시간이 지날수록 벚나무속과 후박나무 속 군락으로 바뀌었다. 이 때 식물군락의 변화는 오랜 시간 동안 일어난다.5)
  • 이차천이는 기존의 식물군락이 교란에 의해 파괴된 이후, 새로운 식물군락이 정착하면서 시작된다. 예를 들어 기존의 자연을 개간해 만든 밭을 오랫동안 그대로 두면 이차천이가 시작되어, 맨 땅에서 강아지풀, 바랭이새 군락 등으로 바뀐다. 이 때 식물군락의 변화는 일차천이에 비해 상대적으로 짧은 시간 동안 일어난다.6)

군락과 군집

일반적인 생태학에서 community는 ‘군집’으로 번역한다. 그러나 식물에 있어서는 plant community가 ‘식물군락’으로도 번역되는 이유는 무엇일까? 우선 plant community와 plant association을 구별할 필요가 있다. 두 용어 모두 어떤 공간과 시간에서 함께 나타나는 식물종의 집단을 의미하지만, 국제적으로 명확한 단위로 규정되었는지 유무가 다르다. Plant association은 국제식생명명규약에 의해 군락분류체계 상의 소속이 명확하게 기재되어있어야 한다. 하지만 Plant community는 아직 명확한 소속이 결정되지 않은 임시집단이다.7)

국내 생태학 관련 분야에서는 community를 ‘군집’으로, association을 ‘군락’ 또는 ‘군총’으로 사용하는 경우도 있다. 그러나 국제적인 규약에 부합하기 위해서는 community를 ‘군락’으로, association을 ‘군집’으로 번역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주장이 있다.2) 해당 본문에서도 이런 기준으로 한글명을 표기했다. 헷갈리는 표현들이 함께 쓰이지만, 두 단어 모두 어떤 공간과 시간에서 함께 나타나는 식물의 집합이라는 의미는 같다.

Plant community와 Plant association의 비교
구분 Plant community Plant association
분류체계 위치 불특정 임시식물군락, 그러나 많은 자료가 쌓이면 Association 등의 구체적인 식생계급으로 발전될 수 있음 특정 식생계급, 군락분류체계의 기본단위, 상급단위 및 하위단위의 소속이 명백하게 기재되어야 함
진단종 명칭 구분종 또는 식별종 (differential speices) 표징종 (character species)
국내 생태학 관련 분야 명명 군집 군락 또는 군총
국제규약에 부합하기 위한 명명 군락 군집

참고문헌

1. 유정칠, 강호정, 김재근 외 역 (2015) Ecology: From Individuals to Ecosystems, 4th Ed. 라이프사이언스, 759
2. 김종원, 이율경 (2006) 식물사회학적 식생조사와 평가방법. 월드사이언스, 240
3. Townsend C.R, Hildrew A.G. (1994) Species traits in relation to a habitat templet for river systems. Freshwater Biology, 31: 265-275
4. Pickett S.T.A, White P.S. (1985) The Ecology of Natural Disturbance as Patch Dynamics. Academic Press, New York, 472
5. Kamijo T, Kitayama K, Sugawara A 등 (2002) Primary succession of the warm-temperate broad-leaved forest on a volcanic island, Miyaka-jima, Japan. Folia Geobotanica, 37: 71-91
6. Wang G. H (2002) Plant traits and soil chemical variables during a secondary vegetation succession in abandoned fields on the Loess Plateau. Acta Botanica Sinica, 44: 990-998
7. 김종원 (2004) 녹지생태학. 월드사이언스, 34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