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점종

우점종

[ dominant species ]

우점종은 특정 군집에서 다른 종들보다 더 많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는 종이다. 우점종을 정할 때는 공간적이거나 양적인 측도를 사용한다. 한 군락에서 생존을 위해 한정된 자원을 공유하는 경우, 한 종이 우점하게 되면 경쟁에서 패배한 종은 밀려나게 된다. 따라서 우점종은 해당 환경에서 생존력, 적응력, 번식력이 다른 종보다 우세한 특성을 가진다.

목차

정의

주어진 군락에서 다른 종들에 비해 더 많은 생체량, 개체수, 또는 피도를 가지고 있는 종을 말하며, 다른 종들과 환경에 미치는 영향력이 큰 종을 말한다.

천이의 진행에 따른 우점종의 변화

천이의 진행에 따른 식생변화. (출처:한국식물학회)

천이(succession)가 진행될수록 그 환경에서의 우점하는 식물이 다르게 나타난다. 천이 초기에는 1년생 초본, 벼과 식물, 숙근초 등이 자란다. 천이가 시작된 후 시간이 경과하면서 관목, 침엽수, 참나무와 낙엽 교목이 자라서 우점종이 바뀐다. 온대지역의 극상(climax) 환경에서는 성숙한 참나무류와 낙엽활엽수들이 어우러진 교목 숲이 안정적인 생태계를 유지한다.1)

핵심종 대 우점종

핵심종(keystone species)과 우점종의 공통점은 군락 내에서 다른 종들에게 큰 영향력을 미친다는 것이다. 핵심종은 군락 내에서 차지하는 바이오매스가 낮으나 그것에 관계없이 군락의 구조에 영향을 미치는 종을 말하며, 우점종은 군락 내에서 높은 바이오매스를 가짐으로써 군락의 구조와 다른 생물에게 영향을 미치는 종을 말한다.

핵심종과 우점종의 차이. (출처:한국식물학회)

핵심종의 예시로는 옐로스톤 국립공원에서 개체수는 적지만 주변 환경에 지대한 영향을 끼쳤던 회색늑대(Canis lufus)가 있다. 양떼 목장의 피해를 예방하기 위해 무리한 사냥을 하다 멸절이 일어났을 때 큰 영향이 없을 것이란 예상과 달리 주변 생태계가 황폐화되었다. 다시 회색늑대를 옐로스톤 국립 공원에 복원하자 주변 생태계가 살아났다.

반면에 우점종의 예시로는 열대지역 습지의 맹그로브(Rhizophoraceae) 나무가 있다. 맹그로브 나무는 조수습지(tidal wetland)에서 우점하는데 새우를 많이 잡기 위해 맹그로브 숲을 베어버리고 그 자리에 새우 양식장을 만들자, 해양생태계가 파괴되어 새우의 양도 줄어들고 바닷물의 오염도 심해졌다. 이는 조수습지에서 엄청난 양의 탄소를 흡수하고 많은 양의 산소를 배출하며 오염물질을 제거하는 맹그로브의 역할 때문이다. 다시 맹그로브를 심기 시작하면서 생태계가 안정되며 새우도 많이 잡히게 되었고 주변의 다른 생물들도 다시 살아났다.

생태계 진단을 위해 사용되는 우점종

우점종은 생태계의 특징이나 변화 등을 대표할 수 있기 때문에, 생태계가 보내는 위험 신호로서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해파리가 우점종으로 나타나는 해안에서는 그곳의 환경의 문제가 있음을 나타내기도 한다. 부영양화, 어류의 남획, 서식지 파괴 및 기후변화가 있을 때 해파리의 개체수가 폭발적으로 증가되는 것이 보고된 적이 있다.2) 또한 식물플랑크톤군집의 우점종으로도 그 지역 수질 오염과 기온변화를 판단할 수 있다. 수질이 악화되면 식물플랑크톤의 종 조성이 훨씬 단조러워지며, 녹조의 원인인 남조류(Microcystis, Anabaena)와 녹조류(Closterium) 등이 대량 증식하게 된다. 또한 식물플랑크톤은 계절에 따라서도 뚜렷한 우점종의 변화가 나타난다.3)

우점종과 종다양성

종다양성이 높으면 생태계가 안정되는데, 한 종이 너무 높은 밀도로 우점하게 되면 종다양성이 낮아지는 경향을 보이기도 한다. 특히, 안정된 생태계에 새로운 종이 유입되면 생태계 교란이 일어나 종 다양성이 감소하는 방향으로의 변화가 일어나기도 하는데, 외래종인 가시박의 경우 다른 식물들을 타고 올라가 뒤덮어 광합성을 막아 말라죽게 만들어 주변의 식생을 대부분 파괴한다. 또한 종자는 높은 휴면율을 가져 방제도 어려운 실정이다.4)

참고문헌

1. Eldon Enger, Frederick Ross, David Bailey (2013) Concepts in Biology 14th Edition. 드림플러스, 356-359
2. Zhijun Dong a, Dongyan Liu a, John K. Keesing (2010) Jellyfish blooms in China: Dominant species, causes and consequences, Marine Pollution Bulletin, 60: 954-963
3. 이진환, 정승원(2004) 한강하류의 환경학적 연구, Algae, 19: 32-327
4. 강병화 (2009) 한국잡초학회 별책(학술대회 초록집) 제29권 제2호, 3-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