피도

피도

[ cover ]

관심을 갖는 생물 종(식물이나 고착성 동물)이나 식생을 지표면에 투영하였을 때, 조사하는 구역에 대하여 투영한 면적이 차지하는 비율을 백분율(%)로 표시한 것. 식물군집을 조사할 때 빠르게 측정할 수 있고, 식생에 대한 훼손을 줄일 수 있는 비파괴적인 측정 방법 중의 하나이다.1)

소나무림의 숲 바닥을 덮고 있는 식생. 담쟁이덩굴, 청미래덩굴 그리고 쑥이 보인다. 담쟁이덩굴의 피도는 높고, 쑥과 청미래덩굴의 피도는 작다. 3종의 피도를 합하면 100%가 넘는다. (출처 :한국식물학회, 이규송)

목차

피도의 정의

식물이나 식생을 지표면에 투영하였을 때 조사 구역을 덮고 있는 정도를 백분율로 나타낸 것이다. 피도는 한 종에 대해서 측정하기도 하고, 전체 식물을 합한 식생에 대하여 측정하기도 한다. 식물이 얼마나 많이 분포하는지에 대한 정도를 측정하는 것이다.

대부분의 식물들은 무성생식을 통하여 클론을 형성하는 경우가 많다. 식물은 개체성이 뚜렷하지 않고, 개체성이 뚜렷하다고 해도 밀도를 측정하기에 시간이 많이 걸리기 때문에 밀도보다 피도를 주요 척도로 이용한다. 야외 현장에서 식물이나 식생의 피도는 상관에 의하여 판단하므로 조사자 간의 편차를 줄이고, 빠르게 측정하기 위하여 피도 등급을 정하여 사용하기도 한다.1) 최근에는 위성사진이나 드론 기술을 이용하여 식생의 피도를 보다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다. 그러나 야외현장의 식물군집에서 종별 피도는 위성기술이나 드론을 이용하기 어렵다. 따라서 상관에 의한 피도등급으로 판정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경포 가시연습지에서 발아 중인 가시연 군집. 그림에서 가시연과 애기가래의 피도를 평가할 수 있다. 또한 모든 식물을 대상으로 전체 식생의 피도를 수면을 덮는 정도로 피도를 평가할 수 있다. (출처:한국식물학회, 이규송)

피도등급

식물군집을 조사할 때 각 종별 피도는 식피율로 측정할 수 있다. 각 종별로 식피율을 측정할 경우에 식물 종간에 중첩되는 경우가 많으므로 모든 종의 피도 합은 보통 100%가 넘기도 한다. 현장에서 상관으로 측정하는 피도는 조사자의 숙련도에 따라 상당한 오차를 발생시킬 수 있다. 또한 식피율(%)로 조사를 할 경우에 일반적으로 시간이 많이 걸린다. 따라서 식물생태학에서는 조사자간 편차를 줄이고 빠른 식생조사를 위하여 피도등급에 의한 조사를 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피도등급의 구분 방법으로 여러 방법이 있지만 가장 많이 사용하는 방법은 Domin 피도등급과 Braun-Blanquet 피도등급이다. 1) 우리나라에서 가장 많이 사용하는 방법은 Braun-Blanquet 피도등급인데, 보통 1 – 2개체 출현하는 r 등급을 추가하여 7가지 피도등급으로 식생조사를 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피도등급에 의한 조사는 정량적인 척도로서 부족한 조사법이라고 비판을 받기 때문에 빈도보다 중요성이 낮게 여겨지기도 한다.

따라서 식피율 조사의 정량성을 높이기 위해 선차단법이나 접점법을 이용하기도 한다. 그러나 이와 같은 방법은 키가 작은 초원이나 관목림 정도의 식생조사에 이용할 수 있는 제한이 있다. 선차단법에서는 선의 전체 길이에 대한 특정 종이 만나는 선의 길이를 이용하여 우점도를 계산한다. 접점법에서는 핀을 이용하여 핀이 식물에 닿은 총 접점에 대한 특정 식물이 닿은 접점의 빈도로 식물의 우점도를 측정한다. 다음은 일반적으로 많이 사용하는 피도등급을 정리한 것이다.1)

피도의 등급
등급 Domin Braun-Blanquet Hult-Sernander Lagerberg-Raunkiaer
+ 한 개체 1 % 미만 - -
1 1 - 2개체 1 – 5 % 0 – 6.25 % 0 – 10 %
2 1 % 미만 6 – 25 % 6.5 – 12.5 % 11 – 30 %
3 1 – 4 % 26 – 50% 13 – 25 % 31 – 50 %
4 4 – 10 % 51 – 75 % 26 – 50 % 51 – 100%
5 11 – 25% 76 – 100% 51 – 100 %
6 26 – 33 %
7 34 – 50%
8 51 – 75 %
9 76 – 90%
10 91 – 100%

상대피도

식물군집을 조사할 때, 각 종별 중요치를 군집 내 상대적인 우점도로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중요치는 보통 상대밀도, 상대피도, 상대빈도 및 상대 생물량의 4가지 척도에서 2 – 4개의 척도 값을 합산하여 상대 값으로 계산을 한다. 중요치를 계산할 때 특정 종의 상대피도의 계산은 다음과 같이 한다. 모든 종의 상대 피도 값을 합산하면 100이 된다.2)

A 종의 상대 피도 (%) = (A종의 피도/모든 종의 피도 합) X 100 

참고문헌

1. Moore PD, Chapman SB (1986) Method in Plant Ecology. 2nd ed. Blackwell Scientific Publication. p 449–450
2. 여천생태연구회 (2005) 현대생태학실험. 교문사. 서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