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리니에스

에리니에스

개념이 의인화된 신

[ Erinyes ]

요약 그리스 신화에서 세 자매로 나오는 복수 및 저주의 여신들이다. 에리니에스는 “광폭한 여신들”로 불리어지며 나중에는 “자비로운 여신들”로 불리어진다. 세 자매의 이름은 티시포네, 알렉토, 메가이라인데 이들은 항상 함께 떼를 지어 다닌다.
에리니에스에게 쫒기는 오레스테스

에리니에스에게 쫒기는 오레스테스

외국어 표기 Ἐρīνύς(그리스어)
구분 개념이 의인화된 신
상징 복수, 징벌
어원 광폭한 이들
로마신화 푸리아이, 디라이
관련 동식물 뱀, 박쥐
관련 인물 오레스테스
가족관계 우라노스의 딸, 가이아의 딸, 닉스의 딸

에리니에스 인물관계도

에리니에스 인물관계도 축소판

에리니에스는 크로노스가 낫으로 아버지 우라노스의 성기를 자를 때 흐른 피가 대지에 스며들어 태어났다. 대지는 곧 가이아 여신을 의미하며 따라서 에리니에스는 우라노스가 거세된 후, 혹은 그 과정에서 대지의 여신 가이아와 결합해 낳은 자식들이다. 다른 버전에 의하면 에리니에스는 밤의 여신 닉스의 딸이라고도 한다.

신화 이야기

개요

에리니에스는 인물관계도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올림포스의 다른 어떤 신들보다도 훨씬 더 이전부터 존재했던 신들이다. 이들은 지하세계에 살면서 죄지은 자들, 특히 살인자와 거짓 맹세를 하는 자들을 처벌하고 특히 부모 살해범에 대해서는 가차 없이 추적하여 가혹한 복수를 하며 심지어는 죽은 사람까지도 처벌한다. 그리고 에리니에스는 가족이 살해당한 사람들이 복수를 미루는 경우에도 그 사람들을 가차 없이 추적한다. 이 여신들의 외모는 서로 다른 버전이 있기는 하지만 머리에는 뱀이 꿈틀거리고 눈에는 피가 흐르며, 머리는 개의 모습으로 혹은 박쥐의 날개를 가진 모습으로 묘사되는 등 무서운 모습으로 표현된다. 아테네 사람들은 후에 이 여신들을 “에우메니데스” 즉 “자비로운 여신들”로 부른다.

오레스테스는 델포이 신전의 신탁에 의해 즉, 델포이의 신인 아폴론의 명령에 의해 아버지를 살해한 복수를 하기 위해 어머니 클리타임네스트라를 살해했다(→‘클리타임네스트라’ 참조). 그가 복수를 하지 않았다면 복수를 미룬다는 이유로 복수의 여신들에게 괴롭힘을 당했을 것이다. 그러나 오레스테스는 이제 모친의 살해범이라는 이유로 에리니에스의 가혹한 탄압을 받게 되며 급기야는 광기에 사로잡히게 되었다. 여기에서 피의 복수에 나타난 부조리한 면이 명백하게 드러난다.

오레스테스는 에리니에스의 모진 탄압과 추적 속에서도 다시금 아폴론 신의 신탁에 의해 아테네 법정에서 재판을 받게 된다. 에리니에스가 검사로 아폴론이 변호사로 그리고 아테나 여신이 재판관으로 등장하는 이 재판에서 아폴론은 부계가 모계보다 우위에 있으므로 아버지의 복수를 위해 어머니를 살해한 오레스테스 남매는 무죄라고 주장했다. 유죄인지 무죄인지를 결정하는 투표가 동 수로 나오자 재판관인 아테나 여신의 표가 판결을 결정하게 되었고, 아테나 여신은 부계가 우선이므로 오레스테스 남매는 무죄라는 판결을 내렸다.

그러나 에리니에스는 이 판결에 분노하여 아테네의 모든 시민들을 괴롭히겠다고 위협했다. 이에 아테나 여신은 에리니에스가 “자비로운 여신들”로 변한다면 아테네에서 자신과 똑같은 숭배를 받을 것이라고 약속했고, 분노를 가라앉힌 에리니에스는 그 이후로 “자비로운 여신들”로 불리게 되었다.

출생

『신들의 계보』에 의하면 크로노스우라노스를 거세할 때 흐른 피가 대지에 즉 대지의 여신 가이아의 몸에 떨어져 에리니에스가 태어났고, 이때 사랑의 여신 아프로디테는 바다에 떨어진 성기의 살점으로부터 태어났다고 한다.

신화 해설

에리니에스를 다룬 고대의 작품 중에서 가장 많이 거론되는 작품은 아이스킬로스의 3부작 비극 『오레스티에』이다. 이 3부작은 오레스테스 신화를 소재로 피의 복수 및 죽음의 복수에 나타난 불합리한 면을 보여주면서 복수의 여신들 에리니에스가 힘을 잃게 되는 과정을 보여주는데 에리니에스는 3부에서 등장하며 그 제목도 「에우메니데스」이다.

오레스테스 남매의 무죄 판결은 아테네의 사회 정치적 변화와 관련지어 설명되어질 수 있다. 아테네는 도시국가로 발전하면서 가족 중심의 씨족 사회에서 벗어나 가부장적인 체제와 더불어 국가의 체제를 확립하기 시작했는데 바로 이 시기에 아이스킬로스의 비극 「에우메니데스」가 쓰여졌다. 이 작품은 게롤트 돔머르트 구드리히가 주장한 바와 같이 개인 및 가족 중심으로 피의 복수를 주도해온 에리니에스가 도시국가 아테네의 수호신 아테나에 의해 무력해지는 과정을 보여주고 있다. 이는 곧 복수에 대한 책임이 가족으로부터 국가기관인 법정으로 전이되는 과정을 의미하는 것이다.

베른아르트 피카르의 동판화, 18세기

베른아르트 피카르의 동판화, 18세기

에리니에스 인물관계도 상세

※ 관계도 내 인명 클릭시 해당 표제어로 연결됩니다.

에리니에스 인물관계도
가이아우라노스브리아레오스오케아노스코이오스크리오스히페리온이아페토스크로노스레아테티스테이아테미스포이베므네모시네키클로페스하데스제우스헤라데메테르헤스티아포세이돈

에리니에스는 크로노스가 낫으로 아버지 우라노스의 성기를 자를 때 흐른 피가 대지에 스며들어 태어났다. 대지는 곧 가이아 여신을 의미하며 따라서 에리니에스는 우라노스가 거세된 후, 혹은 그 과정에서 대지의 여신 가이아와 결합해 낳은 자식들이다. 다른 버전에 의하면 에리니에스는 밤의 여신 닉스의 딸이라고도 한다.

참고자료

  • 헤시오도스, 『신들의 계보』
  • 아이스킬로스, 『에우메니데스』
  • 오비디우스, 『변신이야기』
  • 게롤트 돔머무트 구드리히, 『』, 안성찬 역, 해냄, 2001.
  • 피에르 그리말, 『』, 열린책들
  • W. H. Roscher, 『Ausführliches Lexikon der griechischen und römischen Mythologi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