절고

절고

[ 節鼓 ]

요약 현행 아악기(雅樂器)의 하나.

악학궤범』(樂學軌範 1493)에 나오는 조선초기 절고는 등가악(登歌樂)이 시작할 때와 그칠 때 사용되는 북이다. 혁부(革部) 또는 혁명악기(革鳴樂器, membranophone)에 드는 절고는 특수하게 제조된 나무 틀 위에 비스듬히 얹어 놓은 북의 일종이다. 절고의 그림은 『세종실록』 권132에 처음으로 보인다.

『악학궤범』 권6에 의하면, 세종(1418~1450) 때 절고는 아악 연주 때, 축(柷)·어(敔)·금(琴)·슬(瑟)·화(和)·우(竽)·지(篪)·소(簫)·훈(塤) 등과 함께 회례연(會禮宴)의 등가에서 연주됐다. 성종(1469~1494) 당시에도 아악기의 하나로 분류됐다. 아악 연주 때 등가에 두 개의 절고가 북쪽 좌우에 하나씩 편성됐다. 종묘영녕전(宗廟永寧殿)의 제향(祭享) 때 절고가 연주됐다.

『악학궤범』 권6 소재 절고

『악학궤범』 권6 소재 절고

절고를 연주하는 국립국악원의 악사(『한국악기』)

절고를 연주하는 국립국악원의 악사(『한국악기』)

절고의 이런 전통은 잘 전승되어 오늘날 문묘제향(文廟祭享) 및 종묘제향(宗廟祭享) 때 등가에서 연주되고 있다. 절고의 몸통은 술통처럼 생겼다. 본래 받침대 위에 비스듬히 놓였지만, 현재의 절고는 받침대 위에 가로 놓여 있다.

오늘날 제향악이 시작될 때 절고는 특종(特鍾) 및 축(柷)과 함께 연주되고, 음악이 그칠 때 특경(特磬) 및 어(敔)와 함께 연주된다. 헌가의 건고처럼 절고는 음악의 중간에서도 악절에 따라 연주된다. 즉 현행 문묘제례악(文廟祭禮樂)의 연주 때 절고는 4자 1구(句)의 한 소절 끝박마다 두 번씩 연주된다. 종묘제례악(宗廟祭禮樂)의 "보태평"(保太平)과 "풍안지악"(豊安之樂) 연주 때 매 악절의 첫박자 마다 한 번씩 연주된다.

절고와 함께 연주한 악작(樂作)의 악보(『한국악기』)

절고와 함께 연주한 악작(樂作)의 악보(『한국악기』)

절고와 함께 연주한 악지(樂止)의 악보(『한국악기』)

절고와 함께 연주한 악지(樂止)의 악보(『한국악기』)

참고문헌

  • 『한국음악용어론』 송방송, 권5.1891쪽
  • 『악학궤범용어총람』 송방송, 서울: 보고사, 2010년, 291쪽
  • 『韓國樂器』 송혜진 글 강운구 사진, 서울: 열화당, 2001년, 278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