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박무

아박무

[ 牙拍舞 ]

요약 조선초기 향악정재(鄕樂呈才)의 한 종목. 일명 아박(牙拍).

고려시대 무고(舞鼓)·무애(無imagefont)와 함께 향악정재의 한 종목이었던 동동여기(女妓)들이 춤추는 도중에 "동동사"(動動詞)를 불렀기 때문에 붙여진 이름이다. 고려의 동동은 조선초기 동동정재(動動呈才)로 불리다가 성종(1469~1494) 때 아박무로 바뀌었다.

악학궤범』(樂學軌範 1493) 권5에 의하면, 조선초기 두 여기(女妓)가 아박을 손에 들고 춤을 추면서 "동동사"를 노래 불렀다. 반주음악으로 "정읍만기"(井邑慢機)가 연주됐다.

숙종 기해년(1719) 『진연의궤』(進宴儀軌)에 의하면, 1719년(숙종 45) 숙종의 보령 육순을 축하하기 위한 대전진연(大殿進宴)의 칠작행례(七爵行禮)에서 아박무는 제4작 때 "정읍만기"의 반주음악으로 공연됐다.

순조 기축년(1829) 『진찬의궤』 소재 아박무

순조 기축년(1829) 『진찬의궤』 소재 아박무

영조 갑자년(1744) 『진연의궤』에 의하면, 1744년(영조 20) 중궁전(中宮殿)과 대왕대비전(大王大妃殿)의 내연 및 영조를 위한 구작행례(九爵行禮) 때 아박무는 제4작 때 공연됐다.

1829년(순조 29) 『진찬의궤』(進饌儀軌)에 의하면, 무동(舞童) 2명과 20명의 무동이 2열로 늘어서서 춤을 추었다. 그들은 홍질남선상(紅質藍縇裳)·흑색단령(黑色團領)에 화화방보(畵花方補)·중단의(中單衣) 위에 관대(冠帶)를 띠고, 화자(靴子)를 신었다고 장사훈(張師勛)의 『韓國傳統舞踊研究』에 나온다.

국립국악원 무용단의 아박무 공연(국립국악원 제공)

국립국악원 무용단의 아박무 공연(국립국악원 제공)

정재는 19세기 평양교방(平壤敎坊)에서 연행됐다고 이만용(李萬用)의 「이선악부」(離船樂府)에 전한다. 19세기 후반 진주교방(晉州敎坊)에서 공연된 교방춤의 한 종목이다. 이 정재는 1867년(고종 4)부터 1870년(고종 7) 사이 정현석(鄭顯奭)이 진주목사(晉州牧使)로 지냈을 때 진주교방에서 연행됐다고 그의 『교방가요』(敎坊歌謠 1872)에 전한다.

참고문헌

  • 『한국음악용어론』 송방송, 권4.1422쪽
  • 『증보한국음악통사』 송방송, 서울: 민속원, 2007년, 270, 325, 327, 354, 356, 508, 509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