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방가요

교방가요

[ 敎坊歌謠 ]

요약 ① 성종(1469~1494) 때 창제된 향악정재(鄕樂呈才)의 한 종목.
② 1872년(고종 9) 정현석(鄭顯奭 1817~1899)이 지은 책명.

① (1469~1494) 때 창제된 (鄕樂呈才)의 한 종목. 교방가요는 교방헌가요(敎坊獻歌謠)의 준말이다. 임금이 하는 날에 (大駕)를 맞는 의식의 일부로 거행된 교방가요는 (女妓)가 임금에게 한문으로 쓴 가요의 축(軸)을 올리는 절차다. 조선초기 임금의 대가에서 가요를 올릴 때 교방가요는 (鶴舞)·(蓮花臺) 와 함께 공연됐다. 이 정재(呈才)는 현재 전승되지 않지만 이 정재의 공연절차는 『』(樂學軌範 1493) 권5에 전한다.

② 1872년(고종 9) (鄭顯奭 1817~1899)이 지은 책명. 저자가 1867년부터 1870년까지 진주목사(晉州牧使)로 재임했을 때 (晉州敎坊)에서 연행된 가무와 연희 종목을 그림과 함께 펴낸 책이 『교방가요』(敎坊歌謠 1872)이다.

이 책에는 (男唱歌曲)과 (女唱歌曲) (初數大葉)·(二數大葉)·(三數大葉) 등, (羽調時調)와 계면시조(界面時調)의 농(弄)·(羽樂)·(界樂)·편(編), ""(勸酒歌)·""(春眠曲)·"처사가"(處士歌)·""(相思別曲)·""(梅花打令) 등의 (歌詞), ""(山打令)·""·"" 등의 (雜歌), ·· 등, 그리고 (六花隊)·연화대(蓮花臺)·헌선도(獻仙桃)·(抛毬樂)·검무(劍舞) 등의 교방춤이 그림과 함께 전한다.

참고문헌

  • 『한국음악용어론』 송방송, 권1.256쪽
  • 『증보한국음악통사』 송방송, 서울: 민속원, 2007년, 270, 355~56쪽
  • 『악학궤범용어총람』 송방송, 서울: 보고사, 2010년, 50쪽

참조어

가요(歌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