궁조

궁조

[ 宮調 ]

요약 ① 통일신라 때 비파 악조(樂調)의 하나.
② 중국 오조(五調)의 첫 번째 선법명.

① 통일신라 때 비파 악조(樂調)의 하나. 『삼국사기』 「악지」(樂志)에 칠현조(七賢調)·봉황조(鳳凰調)와 함께 비파음악에 사용된 궁조가 음악적으로 어떤 악조인지는 알려지지 않았다. 그러나 이 궁조는 중국 5조의 궁조가 아니라 『악학궤범』(樂學軌範 1493) 소재 탁목조(啄木調)의 별칭인 궁조로 해석됐다. 즉 청황종을 중심음으로 삼은 평조선법(平調旋法)의 5음음계로 구성된 탁목조가 곧 비파음악에 사용된 궁조로 보아야 한다는 해석이다. 다시 말해서 궁조는 중국 5조의 치조(徵調) 곧 치(黃)·우(太)·궁(仲)·상(林)·각(南)·치(潢)로 구성된 평조선법이다.

궁조 본문 이미지 1

② 중국 오조(五調)의 첫 번째 선법명. 『율려신서』(律呂新書)의 60조에 의하면, 12율을 옮겨가며 한 번씩 중심음으로 삼아 궁선법(宮旋法)을 만들기 때문에 60조에서 궁조[궁선법]는 열두 번 나온다. 궁조는 5조 중의 첫째 선법명이다. 궁조는 황종을 궁(宮) 곧 중심음으로 한 것이다.

『악학궤범』 권1 소재의 궁조는 궁을 중심음으로 삼아 만든 궁선법이다. 궁(C)·상(D)·각(E)·변치(F#)·치(G)·우(A)·변궁(B)·궁(c)으로 구성된 궁조의 궁을 양악(洋樂)의 C로 삼을 때 궁선법은 C·D·E·F#·G·A·B·c의 7음음계로 구성된다. 즉 다섯 개의 온음과 두 개의 반음으로 구성된 7음음계이다. 중심음은 궁(C)이다. 조선초기 이러한 궁조로 된 "소포구락"(小抛毬樂) 같은 악곡은 당악정재(唐樂呈才)의 반주음악으로 연주됐다.

참고문헌

  • 『한국음악용어론』 송방송, 권1.362쪽
  • 『증보한국음악통사』 송방송, 서울: 민속원, 2007년, 83, 108쪽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송방송, 91~93쪽
  • 『악학궤범용어총람』 송방송, 서울: 보고사, 2010년, 56쪽
  • 『國樂大事典』 張師勛, 서울: 세광음악출판사, 1984년, 156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