급막

급막

분류 문학 > 인물 > 귀족
급막 본문 이미지 1
급막 본문 이미지 2
급막 본문 이미지 3
급막 본문 이미지 4
급막 본문 이미지 5
급막 본문 이미지 6

기본정보

신라 중대 성덕왕대 인물인 중아찬(重阿飡) 김지성(金志誠)의 서족(庶族)

일반정보

신라 제 33대 성덕왕(聖德王, 재위 702-737)대 인물인 중아찬(重阿飡) 김지성(金志誠)의 서족(庶族)으로 관등은 일길간(一吉飡)이었다.

전문정보

『삼국유사(三國遺事)』 권3 탑상4 남월산(南月山)조를 보면 감산사가 경주 동남쪽 이십리쯤 되는 곳에 있음을 밝히면서 이 절에 안치되어 있는 두 불상에 새겨진 기록을 인용하고 있다. 감산사에는 미륵존상과 미타불상이 있었는데 각각 그 뒷면에 기록이 남아 있었던 것이다. 금당의 주존인 미륵존상의 화광(火光) 후면 기록에 의하면 개원 7년 기미(719) 2월 15일 중아찬(重阿飡, 신라 17관등 가운데 6위) 김지성(金志誠)이 돌아가신 아버지 인장(仁章) 일길간(一吉干, 17관등 가운데 7위)과 돌아가신 어머니 관초리(觀肖里) 부인을 위해, 감산사(甘山寺)를 세우고 돌미륵 한 구를 정성들여 조성하였다고 한다. 그리고 이러한 불사를 친족인 개원(愷元) 이찬(伊飡)과 아우 간성(懇誠) 소사(小舍, 17관등 가운데 12위), 현도사(玄度師), 누이 고파리(古巴里), 전처 고로리(古老里), 후처 아호리(阿好里), 또 서족(庶族) 급막(及漠) 일길찬(一吉飡), 일당(一幢) 살찬(薩飡, 17관등 가운데 8위), 총민(聰敏) 대사(大舍)와 누이동생 수힐매(首?買) 등과 함께 하였다고 한다. 그리고 마지막에는 어머니 초리부인(肖里夫人)이 고인이 되자, 동해 유우(攸友)가에 흩었음을 기록하였다. 이외에 비슷한 내용이 기록된 미타불의 후면 기록에도 함께 인용하고 있다. 이에 따르면 이에 따르면 중아찬(重阿飡) 김지전(金志全)은 일찍이 상의봉어(尙衣奉御)와 집사시랑(執事侍郞)으로 있다가 67세에 벼슬을 그만두고 한가히 지내며 국주대왕(國主大王)과 이찬(伊飡) 개원(愷元), 돌아가신 아버지 인장(仁章) 일길간(一吉干), 돌아가신 어머니, 죽은동생 소사(小舍) 양성(梁誠), 사문(沙門) 현도(玄度), 죽은 아내 고로리(古路里), 죽은 누이동생 고파리(古巴里)를 위하고, 또 아내 아호리(阿好里) 등을 위해 감산의 장전(莊田)을 베풀어 가람을 세우고, 거듭 돌미타불 한 구를 만들어 돌아가신 아버지 인장 일길간을 위했다고 하였다. 그리고 김지전이 죽은후 동해 유우(攸友)가에 흩었음이 기록되어 있다.

이 기록에 의하면 급막(及漠)은 감산사를 창건했던 중아찬(重阿飡) 김지성(金志誠)의 서족(庶族)으로 17관등 가운데 7번째 관등인 일길찬이었다. 이 급막은 미륵존상 화광후기에서만 언급되고 있는데, 미륵존상 화광후기의 원본으로 생각되는 국보 제 81호 감산사석조미륵보살입상(甘山寺石造彌勒菩薩立像)의 조상기(造像記)에서는 서형(庶兄) 급한(及漢) 일길찬으로 언급되고 있다. 서족(庶族)과 서형(庶兄)이라는 표현을 볼 때, 급막은 김지성의 이복형제로 생각된다. 한편 두 기록에서는 등장하는 급막(及漠)과 급한(及漢)은 동일인물로 보인다.

급막에 대해서는 이외에 달리 전하는 기록이 없어 자세히 알 수 없다.

관련원문 및 해석

(『삼국유사』 권3 탑상4 남월산)
南月山[亦名甘山寺]
寺在京城東南二十許里 金堂主彌勒尊像火光後記云 開元七年己未二月十五日 重阿<飡><金><志>誠 爲亡考仁章一吉干 亡妃觀肖里夫人 敬造甘山寺一所石彌勒一軀 兼及愷元伊飡 <弟>懇誠小舍 玄度師 ?古巴里 前妻古老里 後妻阿好里 兼庶族及漠一吉<飡> 一幢薩<飡> 聰敏<大>舍 妹首?買等 同營玆善 亡?肖里夫人 古人成之 東海攸友邊散也[古人成之以下 文未詳其意 但存古文而已 下同] 彌?佛火光後記云 重阿<飡>金志全 曾以尙衣奉御 又執事侍郞 年六十七致仕閑居 奉爲國主大王 伊<飡>愷元 亡考仁章一吉干 亡妃亡弟小舍梁誠 沙門玄度 亡妻古路里 亡妹古巴里 又爲妻阿好里等 捨甘山莊田 建伽藍 仍造石彌?一軀 奉爲亡考仁章一吉干 古人成之 東海攸反邊散也[按帝系 金愷元乃太宗春秋之<第>六子愷元角干 乃文熙之所生也 <金>志全乃仁章一吉干之子 東海攸反恐法敏葬東海也]

남월산[또는 감산사라고도 한다.]
이 절은 서울(경주) 동남쪽 이십리쯤 되는 곳에 있다. 금당(金堂)의 주존인 미륵존상(彌勒尊像)의 화광(火光) 후면 기록에 이르길, “개원 7년 기미(719) 2월 15일 중아찬(重阿飡,신라 17관등 가운데 6위) 김지성(金志誠)이 돌아가신 아버지 인장(仁章) 일길간(一吉干, 17관등 가운데 7위)과 돌아가신 어머니 관초리(觀肖里) 부인을 위해, 감산사(甘山寺) 한 채와 돌미륵 한 구를 정성들여 조성하였다. 아울러 개원(愷元) 이찬(伊飡)과 아우 간성(懇誠) 소사(小舍, 17관등 가운데 12위), 현도사(玄度師), 누이 고파리(古巴里), 전처 고로리(古老里), 후처 아호리(阿好里), 또 서족(庶族) 급막(及漠) 일길찬(一吉飡), 일당(一幢) 살찬(薩飡, 17관등 가운데 8위), 총민(聰敏) 대사(大舍)와 누이동생 수힐매(首?買) 등을 위해 같이 이 선한 일을 경영하였다. 돌아가신 어머니 초리부인(肖里夫人)이 고인이 되자, 동해 유우(攸友)가에 흩었다.” [고인성지 이하는 글 뜻을 잘 알 수 없으나, 다만 고문을 남겨둘 뿐이다. 아래도 같다.] 미타불 화광후면 기록에 이르길, “중아찬(重阿飡) 김지전(金志全)은 일찍이 상의봉어(尙衣奉御)와 집사시랑(執事侍郞)으로 있다가 67세에 벼슬을 그만두고 한가히 지내며 국주대왕(國主大王)과 이찬(伊飡) 개원(愷元), 돌아가신 아버지 인장(仁章) 일길간(一吉干), 돌아가신 어머니, 죽은동생 소사(小舍) 양성(梁誠), 사문(沙門) 현도(玄度), 죽은아내 고로리(古路里), 죽은 누이동생 고파리(古巴里)를 위하고, 또 아내 아호리(阿好里) 등을 위해 감산의 장전(莊田)을 베풀어 가람을 세우고, 거듭 돌미타불 한 구를 만들어 돌아가신 아버지 인장 일길간을 위했다. (그가) 고인이 되자 동해 유우(攸友)가에 흩었다.” [제계(帝系)를 살펴보면 김개원은 태종춘주의 여섯째 아들 개원(愷元) 각간(角干)이다. 이는 문희의 소생이다. 김지전은 곧 인장 일길간(一吉干)의 아들이다. 동해유반(東海攸反)은 아마도 법민(法敏, 문무왕)을 장사지낸 동해인 듯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