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장대

서장대

[ 華城西將臺 ]

요약 경기도 수원시 팔달산 정상에 있는 조선시대 장대(將臺:장수가 군사를 지휘하던 곳).
수원 화성 서장대

수원 화성 서장대

경기도 수원시 팔달산 정상에 있는 서장대는, 정면 3칸, 측면 3칸의 중층 누각으로서 상층은 정면과 측면이 각각 1칸의 모임지붕으로 되어 있다. 뒤편에는 8면의 노대(弩臺: 서노대)를 세웠는데, 이곳은 쇠뇌를 쏘는 군사인 노수(弩手)가 머물던 곳이다. 또한 현재는 복원이 안됐으나 후당(後堂) 3칸을 지었다. 서쪽 두 칸은 온돌이고, 동쪽 1칸은 판자를 깔았다. 모두 창과 분합문을 설치하고 단청을 하였다.

이곳은 성의 안팎이 모두 한눈에 들어와, 화성 성곽 일대는 물론 이 산을 둘러싸고 있는 백 리 안쪽의 모든 동정을 파악할 수 있다. 1794년(정조 18) 8월 11일 터 닦기 공사에 착수하였고, 9월 16일에 상량하고, 9월 29일에 완공되었다. 정조가 '화성장대(華城將臺)'란 편액을 직접 썼다.

카테고리

  • > > >
  • > > >

관련동영상

수원화성 서장대 수원화성 내 팔달산 정상에 있는 군사훈련지휘소 사적 경기도 수원시 수원화성 내 팔달산 정상에 있는 조선시대 군사지휘소로 1794년(정조18)에 완공되었다가 화재 후 2006년 수리하였다. 화성에 있는 2곳의 장대 중 하나로 서장대는 군사훈련지휘소로, 동장대는 평상시 군사들의 훈련장소로 쓰였다. 서장대 건물은 1층은 4면이 3칸, 2층은 정면1칸 측면1칸으로 지어진 중층 누각으로 장수가 1층에 머물면서 군사훈련을 지휘하였다. 서장대는 시야가 트여 있어 멀리 용인 석성산 봉화와 융릉 입구까지 한눈에 살필 수 있었다고 한다. 조선 정조가 직접 쓴 "華城將臺(화성장대)" 현판이 걸려있으며 정조가 직접 쓴 시를 새긴 현판 "어제화성장대시문"이 복원되어 1층에 걸려있다. 수원화성에서 유일하게 정조가 지은 글과 글씨가 게시된 건축물로 수원화성에서 가장 격이 높다. 출처: doopedi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