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원 화서문

수원 화서문

[ Hwaseomun Gate, Suwon , 水原 華西門 ]

요약 경기도 수원시 장안동에 있는 수원성곽의 성문. 1964년 9월 3일 보물로 지정되었다.
수원 화성 화서문

수원 화성 화서문

지정종목 보물
지정일 1964년 9월 3일
소재지 경기도 수원시 팔달구 장안동 334번지
시대 조선 정조 20년(1796)
종류/분류 유적건조물 / 정치국방 / 궁궐·관아 / 궁궐
크기 정면 3칸, 측면 2칸

1964년 9월 3일 보물로 지정되었다. 문루의 규모는 정면 3칸, 측면 2칸이며, 단층 팔작지붕이다.

1796년(정조 20)에 건조되었으며 좌우로 성벽에 이어지는 석축 부분에 홍예문을 열고 그 위에 단층의 문루를 세웠다. 그리고 전면에는 또 반원형의 전(塼)으로 쌓은 옹성(甕城)을 두었다.

건축의 계통은 전형적인 2익공(翼工)집으로 외목도리를 받쳤으며 창방(昌枋) 위에는 화반(花盤)을 배치하였다. 또 대량(大樑)에서 측면 기둥에 걸쳐 충량(衝樑)이 있으며 천장은 연등천장이다. 한국에 있는 다른 성곽건축에서는 볼 수 없는 독특한 양식으로 구조도 특수하며 이것이 있음으로써 부근 일대의 경관을 한층 더 아름답게 만들고 있다.

카테고리

  • > > >
  • > > >
  • > > >

관련동영상

수원화성 화서문 수원화성의 서문 보물 수원화성의 서쪽문으로 1796년(정조20)에 완공되었다."화성의 서쪽"이란 뜻이지만 서쪽에는 팔달산이 있어 실제는 서북쪽에 문을 두었다. 화서문 밖으로 넓은 평지가 펼쳐져있고 주변 감시가 필요해 높은 서북공심돈을 화서문 옆에 함께 세웠다. 네모 반듯한 큰 돌을 높이 쌓아 만든 축대 위에 정면3칸 측면 2칸의 팔작지붕 1층 문루를 세웠으며 기둥 사이는 모두 개방되어 있다. 축대의 가운데에 무지개 모양의 홍예문과 문의 앞쪽에는 벽돌로 쌓은 반원형의 전(塼)으로 쌓은 옹성(甕城)을 두었다. 화서문의 옹성은 성문을 보호하고 성을 지키는 역할을 하는 2중의 방어 효과를 갖는 구조물로 평가되고 있다. 화서문은 창건 당시 모습을 잘 유지하고 있는 간결하고 섬세한 18세기 건축물로 수원시 마크에 쓰인 수원화성의 문은 화서문을 모델로 하고 있다. 출처: doopedi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