봉돈

봉돈

[ 華城烽墩 ]

요약 경기도 수원시 팔달구 팔달로 화성에 있는 봉수대이다.
화성 봉돈

화성 봉돈

화성 성벽 일부를 밖으로 돌출시켜 화강석으로 기초를 쌓고, 윗부분은 벽돌로 성벽보다 높게 축조하였다. 내면은 굴곡이 지게 하여 3층으로 만들었으며 5개의 화두를 곡선 형태로 쌓았다. 적군의 공격에 대비하여 포혈과 총안을 갖추었고 봉수군들이 사용할 구들방과 창고 등도 마련하였다.

봉수군들은 화성 행궁과 주변을 정찰하다가 낮에는 연기, 밤에는 불을 피워 위험을 알리는 신호를 보냈는데, 화성시 장안면 흥천대 해봉으로부터 봉담읍 건달산의 간봉(間烽)을 받아 용인시 석성산(石城山) 육봉(陸烽)으로 전달하였다. 신호체계는 남쪽 첫번째 화두부터 시작하여 평상시에는 밤낮으로 봉수 1개를 올리고, 적군이 국경 가까이 나타나면 봉수 2개, 국경에 이르면 3개, 국경을 침범하면 4개, 전투를 시작하면 봉수 5개를 모두 올렸다.

참조항목

봉수, 팔달구, 봉수대

카테고리

  • > > >

관련동영상

수원화성 봉돈 수원화성 동쪽에 설치된 봉화대 조선시대 일반적인 봉화대는 산꼭대기에 설치하였으나 화성 성벽에 설치한 것으로 특이한 사례로 여겨지는 시설물이다. 성벽의 한 부분을 바깥으로 튀어나오게 만든 치성 위에 벽돌을 쌓아 만들었으며 5개의 봉화로가 있다. 수원화성 봉돈에서는 평상시에 1개의 화로만 이용했는데 용인 석성산과 흥천대 봉화로 신호를 보냈다. 나머지 4개의 봉화로는 긴급한 상황 때만 사용했다. 출처: doopedi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