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천포해전

사천포해전

[ 泗川浦海戰 ]

요약 1592년(선조 25) 5월 29일부터 6월 1일까지 조선 수군이 경상남도 사천 앞바다에서 왜군 함선 13척을 격침시키고, 왜군 2,600여 명을 사살한 해전.

이순신(李舜臣) 함대가 두 번째로 출전해 치른 첫 해전이다. 전투로는 1592년(선조 25) 음력 5월 7일부터 8일까지 치른 세 번의 해전에 이어 네 번째이다. 같은 해 5월 29일부터 6월 1일까지 치러졌다. 함대 규모는 이순신이 이끄는 전라좌수영의 정예함선 23척과 원균(元均)이 이끄는 경상우수영의 함대 3척 등 총 26척이다. 이순신 함대에는 새로 창안된 전함 거북선도 포함되었는데, 거북선이 실전에 투입된 것은 사천포해전이 처음이다.

거북선의 모형도

사천포해전 본문 이미지 1

일본 수군은 이전에 치러진 조선 수군과의 해전에서 큰 타격을 받았음에도 서해안으로 진출하기 위해 계속 기회를 엿보고 있었다. 이순신 함대는 이러한 일본 수군을 공격하기 위해 5월 29일 노량(露梁)으로 나아가 사천 앞바다에서 경상우수영 수군과 합류하였다. 이어 해안선을 따라 사천 선창으로 도망치는 왜군 척후선 1척을 격침시킨 뒤, 계속 나아가 사천 포구에 이르렀다.

선창에는 왜군 대선 12척이 매어 있고, 선창 뒷산에는 왜군이 진을 치고 있었다. 이순신 함대가 접근하자 왜군은 완강히 저항하며 맞섰다. 마침 썰물 때라 전선을 포구에 댈 수 없어 아군 함대는 작전상 후퇴하며 적군 일부를 먼 바다로 유인하였다. 왜선이 아군의 대형 전함인 판옥선이 활동하기에 유리한 해역까지 따라오자, 이순신 함대는 갑자기 뱃머리를 돌려 다시 왜군을 공격하기 시작하였다.

최전방 돌격선의 임무는 거북선이 맡았다. 이순신은 아군 주력선인 판옥선보다 먼저 거북선을 적진에 들여보내 천·지·현·황(天地玄黃) 등 사자총통(四字銃筒)과 각종 함재 화포를 집중적으로 발사하였다. 이에 놀란 왜군 함대는 지리멸렬해 사천 포구 쪽으로 도주하였고, 그러는 사이에 만조가 되었다.

거북선에 이어 밀물을 따라 포구에 도착한 판옥선에서도 일제히 불을 뿜기 시작하자, 왜군은 배를 버리고 산 위로 도주하기에 바빴다. 이 와중에 수많은 왜군이 죽고, 포구에 있던 왜선 가운데 10척이 아군에 의해 불타 없어졌다. 나머지 2척은 패잔병들이 타고 도망갈 때 소탕하기 위해 일부러 태우지 않고 남겨 둔 채 함대를 사천만 입구의 모자랑포(毛自郞浦)로 옮겨 그 곳에서 밤을 지냈다.

나머지 2척을 타고 도주하려던 왜군 패잔병은 원균에 의해 6월 1일 새벽 배와 함께 불에 타 죽거나 목이 베어졌다. 이 해전에서 왜군 2,600명이 도살되었고, 13척의 왜선도 모두 격침되었다. 아군 측은 거북선 건조의 책임자이자 군관인 나대용(羅大用)이 적의 총탄에 맞았고, 이순신도 왼쪽 어깨에 탄환을 맞았다.

사천포해전 본문 이미지 2

사천해전은 이순신이 치른 다른 해전과 마찬가지로 지형과 조수를 이용한 전략 외에 거북선을 처음으로 실전에 투입해 그 성능을 확인하였다는 점에서 시사하는 바가 크다. 각종 함포로 무장한 최전방 돌격선으로서 적선 격침은 물론, 적진을 혼란에 빠뜨리는 임무를 성공적으로 수행함으로써 이후 거북선은 한산도대첩을 비롯한 각종 해전에서 조선 수군을 상징하는 전선으로 위용을 떨치게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