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유스티노신학교

성유스티노신학교

[ 聖유스티노神學校 ]

요약 대구광역시 중구 남산동에 있는 가톨릭 신학교. 1990년 12월 15일 대구광역시 문화재자료로 지정되었다.
성유스티노신학교

성유스티노신학교

지정종목 대구광역시 문화유산자료
지정일 1990년 12월 15일
관리단체 대구구천주교회유지재단
소재지 대구광역시 중구 명륜로 12길 47 (남산동)
시대 일제강점기
종류/분류 유적건조물 / 교육문화 / 근대교육문화 / 학교시설

1990년 12월 15일 대구광역시 문화재자료로 지정되었다. 재단법인 대구구천주교회유지재단이 관리하고 있다. 대구 천주교회의 초대 교구장이었던 드망주(한국명 안세화) 신부가 중국인 벽돌기술자를 동원하여 1913년에 착공, 1914년에 완공하였다.

드망주 신부는 파리 외방전교회 소속의 가톨릭 선교사로 1898년에 우리나라에 들어왔다. 개화기 언론창달과 대구교구 창설에 크게 기여하였다. 저서인 《한국 대목구(代牧區) 창설 100년 기념서》(1931)는 한국 천주교회사 연구에 중요한 자료이다.

1912년 드망주 신부는 신학교를 세우기 위하여 서울 명동성당의 건축에 참여하였던 프와넬 신부를 초청하여 건립계획을 세웠다. 세계 각 지역에 재정 지원을 호소하여 1913년 9월 중국 상하이[上海]에서 익명의 신자가 신학교의 주보로 성 유스티노를 모시는 조건으로 거액의 헌금을 보내오고, 대구의 신도 서상돈이 부지를 기증하여 공사에 착수하였다.

프랑스인 신부들이 서구의 근대 건축양식과 함께 벽돌제조 및 조적 기술을 대구민에게 소개한 의의를 가지며 대구의 천주교사를 담고 있는 역사적 건물이다.

역참조항목

이천로, 명륜로

카테고리

  • > > >
  • > >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