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현단

오현단

[ 五賢壇 ]

요약 조선시대 제주에 유배되었거나 방어사로 부임하여 이 지방 발전에 공헌한 다섯 사람을 배향한 옛 터. 1971년 8월 26일 제주특별자치도 기념물로 지정되었다.
오현단

오현단

지정종목 제주특별자치도 기념물
지정일 1971년 8월 26일
관리단체 제주시
소재지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이도1동 1421-3번지
시대 조선시대
종류/분류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 제사유적 / 제사터

1971년 8월 26일 제주특별자치도 기념물로 지정되었다. 제주시 이도1동에 제주성지의 흔적이 있는데 그 북쪽에 바로 인접하여 오현단이 있다. 이곳은 조선시대 제주에 유배되었거나 방어사로 부임하여 이 지방 발전에 공헌한 다섯 사람을 배향한 옛 터이다. 오현(五賢)은 1520년(중종 15)에 유배된 충암 김정, 1534년에 목사(牧使)로 부임한 규암 송인수, 1601년(선조 34)에 안무사로 왔던 청음 김상헌(金尙憲), 1614년(광해군 6)에 유배된 동계 정온과 1689년(숙종 15)에 유배된 우암 송시열 등이다.

단은 원래 1578년(선조 11) 임진(林晋)이 목사로 있을 때 판관 조인후(趙仁後)가 가락천 동쪽에 제주에 유배되었다가 사사된 김정의 넋을 위로하기 위하여 충암묘를 지은 것이 시초였다. 1665년(현종 6) 이중신(李重信)이 목사로 있을 때 판관 최진남(崔鎭南)이 충암묘를 지금의 자리(제주시 이도동)로 옮겨 사(祠)로 하고, 장수당을 재로 하였다. 1682년(숙종 8) 신경윤(愼景尹)이 절제사로 있을 때 예조정랑 안건지(安建之)를 제주도에 파견하여 귤림서원으로 사액을 하고 김정, 송인수, 김상헌, 정온의 4현을 봉향하다가 1695년에 이익태(李益泰) 절제사 때 송시열이 추향됨으로써 5현을 배향하게 되었다. 그 뒤 1850년(철종 1) 장인식 목사는 귤림서원 묘정비를 세웠다.

그러나 1871년(고종 8) 전국에 내려진 서원철폐령에 따라 1665년 최진남 판관이 세운 귤림서원이 철폐된 후, 1892년 제주지방 유림이 중심이 되어 귤림서원 자리에 오현의 뜻을 후세에 기리고자 조두석을 세우고 제단을 쌓아 제사를 지냈다.

지금도 단내에는 5현의 유적으로 오현의 위패를 상징하는 높이 43∼45cm, 너비 21∼23cm, 두께 14∼16cm의 조두석이 있는데 각자 33∼35cm 간격으로 배열되어 있다. 또한 오현단 서쪽 병풍바위에 1856년(철종 7) 판관 홍경섭(洪敬燮)이 새긴 송시열의 필적 마애명(磨崖銘)인 ‘증주벽립(曾朱壁立)’과 김정과 송시열의 적려유허비가 있다.

카테고리

  • > >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