송인수

송인수

[ 宋麟壽 ]

요약 조선 중기 문신. 형조참판 때 동지사로 명나라에 다녀온 뒤 대사성이 되어 유생들에게 성리학을 강론했다. 성리학의 대가로 선비들로부터 추앙받았다. 청주 신항서원 등에 배향되었다. 문집에《규암집》이 있다.
송인수 묘소

송인수 묘소

출생-사망 1499 ~ 1547
본관 은진
미수
규암
시호 문충
활동분야 정치
주요저서 《규암집》

본관 은진(恩津). 미수(眉叟). 호 규암(圭庵). 시호 문충(文忠). 1521년(중종 16) 별시문과(別試文科)에 급제, 정자(正字)를 지내고 1523년 사가독서(賜暇讀書)했다. 1526년 수찬(修撰)을 지내고 대간(臺諫) 때 김안로(金安老)의 재집권을 막으려다가 제주목사로 좌천되었다. 1534년 신병으로 인해 돌아왔다가 다시 김안로의 미움을 사 사수(泗水)로 유배되었다. 1537년 김안로 등이 몰락하자 승지(承旨)로 재등용되었고, 형조참판 때인 1544년 동지사(冬至使)로 (明)나라에 다녀온 뒤, 대사성이 되어 유생(儒生)들에게 성리학(性理學)을 강론했다. 그 뒤 대사헌 ·이조참판을 역임했으나 윤원형(尹元衡) 등의 미움을 사서 전라도관찰사로 좌천되었다.

1545년 을사사화로 한성부좌윤(漢城府左尹)에서 파직되어 청주에 은거하다가 윤원형 등에 의해 사사(賜死)되었다. 성리학(性理學)의 대가로 선비들로부터 추앙받았다. 청주 신항서원(莘巷書院) 등에 배향되었다. 문집에 《규암집(圭庵集)》이 있다.

참조항목

규암집, 추파문집

카테고리

  • > >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