송광사 나한전

송광사 나한전

[ 松廣寺 羅漢殿 ]

요약 전북특별자치도 완주군 소양면 대흥리 송광사(松廣寺) 내에 있는 나한전(羅漢殿). 1999년 7월 9일 전북특별자치도 유형문화재로 지정되었다.
송광사 나한전

송광사 나한전

지정종목 전북특별자치도 유형문화유산
지정일 1999년 7월 9일
소재지 전북특별자치도 완주군 소양면 대흥리 569번지
시대 조선시대
종류/분류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 불교 / 불전
크기 정면 3칸, 측면 3칸

1999년 7월 9일 전북특별자치도 유형문화재로 지정되었다. 정면 3칸, 측면 3칸의 주심포집 건물로 천장은 우물천장이며, 지붕은 팔작지붕이고, 각 지주의 주춧돌은 자연석을 사용하였다. 내부에는 목조 석가여래좌상이 봉안되어 있으며, 오른쪽과 왼쪽에 16나한상과 오백나한상, 인왕상, 동자상, 사자상이 배치되어 있으며, 송광사 오백나한전 목조석가여래삼존상 및 권속상 일괄이 있다.

공포(처마 끝의 하중을 받치기 위해 기둥머리 같은 데 짜맞추어 댄 나무 부재)는 주심포집 형식이나 쇠서 아래쪽의 초각으로 보아 18세기에 한 차례 중수되었으며, 귀공포의 쇠서(전각의 기둥 위에 덧붙이는 소의 혀 모양의 장식)에 연꽃 봉오리가 첨가되었고, 곧게 꺾인 첨차(도리 방향에 평행하고 촛가지에 직각으로 짜이는 나무)로 보아 20세기 초에 다시 중수된 것으로 보인다. 두 번에 걸친 중수로 서까래와 천장 등이 많이 변형되었다.

현재의 건물은 1656년 각성(覺性:1575~1660)이 송광사를 중창할 때 건립한 것이며, 1934년 혜광이 중수하였다. 송광사는 867년(경문왕 7) 도의(道義)가 창건하였으며, 고려시대 지눌(知訥:1158~1210)이 중수하였다고 한다.

카테고리

  • > > >
  • > > >
  • > > >

관련동영상

송광사 나한전 송광사 나한전 전북특별자치도 완주군 소양면 송광사에 있는 전각 전북특별자치도 유형문화재 완주군 송광사 내에 있는 전각으로 가운데에는 목조석가여래삼존좌상을 두고 좌우에는 부처의 제자 중 아라한과를 얻은 성자인 16나한상, 오백나한상과 인왕상, 동자상, 사자상 등이 배치되어 있다. 현재 건물은 1656년 각성대사가 송광사를 다시 지을때 함께 건립한 것으로 1934년에 중수되었다. 나한전은 정면3칸, 측면3칸의 주심포집 건물에 팔작지붕으로 지어졌다. 나한은 "아라한"의 줄임말로 나한전에 봉안되어 있는 목조석가여래삼존좌상과 16나한상은 2021년 보물로 지정되었으며, 오백나한상은 전북특별자치도 유형문화재로 지정되어 있다.  출처: doopedi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