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포

공포

[ 栱包 ]

요약 한국·일본·중국 등지의 전통 목조건축에서 처마 끝의 하중을 받치기 위해 기둥머리 같은 데 짜맞추어 댄 나무 부재로, 건물의 가장 중요한 의장적(意匠的) 표현으로서 장식의 기능도 겸하는데, 그 형식에 따라 주심포식(柱心包式), 다포식(多包式), 익공식(翼工式) 으로 나뉘어진다.
강릉 오죽헌 공포

강릉 오죽헌 공포

주두(柱頭)·소로(小櫨) ·첨차(檐遮)·제공(諸工)·한대(限大)·살미[山彌] 등을 결구(結構)하여 처마 끝의 하중을 기둥에 전달하는 역학적(力學的) 기능을 한다. 건물의 가장 중요한 의장적(意匠的) 표현으로서 장식의 기능도 겸하여, 각 시대에 따라 특징을 가지고 있다.

형식으로는 주심포식(柱心包式) 공포, 다포식(多包式) 공포, 익공식(翼工式) 공포로 나누어진다.

주심포식 공포는 기둥 위에만 공포를 배치하는 것으로, 가장 오래된 공포 형식이다. 다포식은 기둥 위는 물론 기둥 사이에도 공포를 배치하는 형식이다. 익공식은 주심포와 같이 기둥 위에만 익공을 얹었으나 세부기법은 다포식과 흡사하며, 익공식과 주심포식 공포가 기본적으로 다른 점은 짜임에 있다.

즉, 익공식은 보통 기둥머리와 주두를 동시에 익공이 물고 있는 짜임수법이며, 원칙적으로 출목(出目)이 없다. 그러나 주심포식 공포는 허첨차(虛檐遮)나 살미첨차가 기둥머리와 주두를 동시에 물고 있지 않으며, 익공식과 달리 출목이 있다.

공포 본문 이미지 1 

이와 같이 여러 공포 형식에 따라 전통 목조건물은 주심포집·다포집·익공집 등이라 한다. 한국에서 언제부터 공포가 사용되었는지는 확실하지 않으나, 3~4세기 고구려의 고분벽화에서 주심포 형식의 공포가 보이는 것으로 보아 그 이전에 공포가 사용되었음을 예상할 수 있다. 주심포식 공포는 고려와 조선시대 초기 건물에서 나타나고 있으며 예산 수덕사 대웅전과 안동 봉정사 극락전, 강진 무의사 극락전이 대표적인 경우로 꼽힌다. 다포식 공포는 주로 조선시대 건물에 나타나며 황해도 심원사 보광전(心願寺普光殿), 구례 화엄사 각황전, 경주 불국사 대웅전에서 찾아 볼 수 있다.  

역참조항목

창경궁 문정전

카테고리

  •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