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심포집

주심포집

요약 전통 목조건축 양식의 하나로, 건물 내부에 기둥이 없는 넓은 공간을 만드는 데 적합한 가구(架構) 수법을 사용하고 두공의 장설(長舌)를 최대로 활용한 건물을 말하는데, 원래 중국 화남지방에서 성행하던 것이 한국에 전래되었으며, 가장 오래된 것은 부석사 무량수전이다.
영주 부석사 무량수전 공포

영주 부석사 무량수전 공포

매우 큰 양간(樑間)을 가지고 건물 내부에 기둥이 없는 넓은 공간을 만드는 데 적합한 가구(架構) 수법을 사용한 건축으로 두공(枓뱀)의 장설(長舌)를 최대로 활용한 건물이다. 우선 기둥 위에 주두(柱頭)를 놓고 주두 위에만 두공을 짜올리며 기둥과 기둥 사이에는 동자주(童子柱) 아니면 ∧형 복화반(覆花盤)을 둔다. 두공은 기둥머리의 창방 위치에 꽂아낸 첨차(墅遮)부터 시작해서 짜올리며, 벽 전면에서 외목도리(外目道里)를 받기 위한 행공첨차(行工墅遮) 이외에는 좌우로 전개되지 않는다. 두공은 2출목으로 한정되며 첨차의 하단은 S형 곡선이 되도록 깎는다. 소루(小累)는 측면이 내반(內反)된 곡선이 되고, 굽 밑에 굽받침이 달리게 된다. 보[樑]의 형태는 네모가 둥글게 깎인 역사다리꼴이 되고, 보 양 끝에서는 보의 굵기가 작아진다. 천장가구(天障架構)는 회칠이나 단청으로 꾸미고 일반적인 천장가구를 하지 않는다.

이 주심포 양식은 원래 중국 화남지방에서 성행하던 것으로, 한국과 교류하는 과정에서 전해져 재래의 목조건축에 이용되면서 점차 본고장인 화남지방의 주심포집과는 다른 양식으로 확립되어간 것으로 보인다. 그것은 한국 주심포양식의 가장 오래된 건물이 부석사 무량수전(無量壽殿)인데 이 무량수전은 신라·고려로 이어지는 매우 기능적인 건축양식과 근본적으로 차이가 없지만, 중국 화남과는 차이가 많은 건물인 것으로 보아 알 수 있다. 그리고 이 부석사 무량수전이 한 조형(祖形)이 되어 이 계통의 목조건축이 조선 전기에 가장 성행하였으며, 중기와 후기에도 한국 법당(法堂) 건축에 사용되어 왔다.

참조항목

공포, 다포집, 익공

카테고리

  • > >
  • > >

관련이미지

홍성 고산사 대웅전

홍성 고산사 대웅전 충남 홍성군 결성면. 규모는 정면 3칸 측면 3칸 단층 팔작지붕의 주심포집이다. 출처: doopedi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