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절사

현절사

[ Hyeonjeolsa Shrine , 顯節祠 ]

요약 경기도 광주시에 있는 조선시대의 건물. 1972년 5월 4일 경기도 유형문화유산으로 지정되었다.
현절사

현절사

지정종목 경기도 유형문화유산
지정일 1972년 5월 4일
관리단체 경기도
소재지 경기도 광주시 중부면 남한산성로 732-42 (산성리)
시대 조선시대
종류/분류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 제사유적 / 제사터

1972년 5월 4일 경기도 유형문화유산으로 지정되었다. 병자호란 때 끝까지 항복하지 않고 청(淸)나라 선양[瀋陽]에 끌려가 순절한 홍익한(洪翼漢)·윤집(尹集)·오달제(吳達濟) 삼학사(三學士)의 우국충절(憂國忠節)을 기리기 위해 세운 사당이다.

1688년(숙종 14) 삼학사의 영령을 위로하기 위해 유수 이세백(李世白)이 세웠고, 1693년 봄에 사액(賜額)하였다. 삼학사와 같이 청나라에 항복하기를 반대했던 주전파(主戰派)의 거두 김상헌(金尙憲)·정온(鄭蘊) 두 충신도 1699년부터 함께 모시고 있다.

남한산성(南漢山城) 동문(東門) 내 북쪽 산기슭에 있으며, 건평은 29.5평이다. 목조 단층 와즙(瓦葺:기와로 지붕을 이는 것)에 정면 3칸, 측면 2칸이며, 부속건물로 동재(東齋)·서재(西齋)·내외일주문(內外一柱門), 1978년 복원된 내삼문(內三門)이 있다. 수복사(守僕舍)·외삼문(外三門)은 없어졌다.

카테고리

  • > > >
  • > > >
  • > > >
  • > > >

관련동영상

현절사 경기도 광주에 있는 조선시대 사당 경기도 유형문화재 경기도 광주시 중부면에 있는 조선시대 사당으로 병자호란 때 끝까지 항복하지 않고 청나라 선양에 끌려가 순절한 삼학사(三學士)로 불리는 홍익한, 윤집, 오달제의 우국충절을 기리기 위해 세워졌다.  남한산성 동문 내 북쪽 산기슭에 위치하며 사당은 정면3칸 측면3칸의 맞배지붕, 사당 아래쪽 동재와 서재는 서로 마주보는 형태로 정면3칸 측면1칸반의 맞배지붕으로 지어져있다.1칸 규모의 내문과 외문이 있다. 1688년 삼학사의 영령을 위로하기 위해 유수 이세백이 세운후 1693년 현절사의 사액이 내려졌다. 삼학사와 같이 청나라에 항복을 반대했던 주전파의 거두 김상헌, 정온의 위패도 1699년 이후부터 함께 모시고 있다. 출처: doopedi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