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달제

오달제

[ 吳達濟 ]

요약 병자호란 때 3학사의 한 사람으로 인조 때 병조좌랑 ·정언 ·부교리 등을 지냈다. 병자호란 때 청나라와의 화의를 극력 반대하였으나 인조가 항복한 뒤 적장의 심문에 굴하지 않아 죽임을 당하였다.
출생-사망 1609 ~ 1637
본관 해주(海州)
계휘(季輝)
추담(秋潭)
시호 충렬(忠烈)
주요저서 《충렬공유고(忠烈公遺稿)》

본관은 해주(海州)이며 자는 계휘(季輝), 호는 추담(秋潭)으로 오윤해(吳允諧)의 아들이다. 19세에 사마시에 합격, 1634년(인조 12) 별시문과에 장원 급제하였다. 전적 ·병조좌랑 ·시강원사서 등을 거쳐 1635년 정언 ·지평이 되고 1636년 수찬(修撰)을 거쳐 부교리가 되었다.

이 때 후금(後金)의 위협으로 사신을 교환하게 되자 이에 반대하여 주화파(主和派)의 최명길(崔鳴吉)을 탄핵하는 상소를 올렸다. 병자호란이 일어나자 남한산성에 들어가 청나라와의 화의(和議)를 극력 반대하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청군에 항복하게 되자 스스로 척화론자로 나서 적진(敵陣)에 송치되었다. 적장 용골대(龍骨大)의 심문에 굴하지 않아 다시 심양(瀋陽)으로 이송되었고, 그 곳에서도 모진 협박과 유혹에 굴하지 않자 결국 심양성 서문 밖에서 윤집(尹集)·홍익한(洪翼漢)과 함께 처형당했다. 

좌승지·영의정이 추증되었고 광주(廣州)의 절현사(節顯祠), 평택(平澤)의 포의사우(褒義祠宇), 홍산(鴻山)의 창렬서원(彰烈西院), 영주의 장암서원(壯巖書院), 고령의 운천서원(雲川書院)에 배향되었다. 묵매화(墨梅畵)에 뛰어났으며 문집에 《충렬공유고(忠烈公遺稿)》가 있다. 시호는 충렬(忠烈)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