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산동

공산동

[ Gongsan-dong , 公山洞 ]

요약 대구광역시 동구에 있는 동.
위치 대구 동구
면적(㎢) 83.84㎢
문화재 동화사 입구 마애불좌상(보물 243), 동화사 비로암 석조비로자나불좌상(보물 244), 동화사 비로암 삼층석탑(보물 247), 동화사 금당암 삼층석탑(보물 248), 동화사 당간지주(보물 254), 달성 도학동 석조부도(보물 601)
인구(명) 21,733명(2021)

면적 83.84㎢로 동화사, 파계사, 북지장사, 부인사, 갓바위 등의 관광문화유적이 많이 산재되어 있는 지역이다.

1981년 대구시가 대구직할시로 승격되면서 달성군 공산면을 편입하여 공산면 전역에 동구 공산출장소를 설치하였다. 이어서 1982년 공산출장소 관할구역에 행정동인 공산1동을 신설하고, 1983년 공산출장소를 폐지하면서 그 관할구역에 공산2동을 신설하였다. 1987년 공산2동 관할구역 중에서 연경동을 북구 연경동으로 편입하고, 1992년 공산2동의 미대동과 내동을 공산1동으로 행정동 관할구역을 변경하였다. 1995년 대구직할시가 대구광역시로 명칭이 변경되면서 공산동은 대구광역시 동구에 편입되었다. 1998년 공산1동과 공산2동을 통합하여 공산동으로 명칭을 변경하였다.

행정동인 공산동은 법정동명과 행정동명이 같고, 법정동인 능성동, 진인동, 도학동, 백안동, 미곡동, 용수동, 신무동, 미대동, 내동, 지묘동, 덕곡동, 송정동, 신용동, 중대동을 관할한다.

문화재로는 국가지정문화재로 동화사 입구 마애불좌상(桐華寺入口磨崖佛坐像:보물 243)과 동화사 비로암 석조비로자나불좌상(毘盧庵石造毘盧舍那佛坐像:보물 244), 동화사 비로암 삼층석탑(보물 247), 동화사 금당암 삼층석탑(보물 248), 동화사 당간지주(幢竿支柱:보물 254), 달성 도학동 석조부도(達城道鶴洞石造浮屠:보물 601), 북지장사 대웅전(北地藏寺大雄殿:보물 805), 대구 파계사 목관음보살좌상(大邱把溪寺木觀音菩薩坐像附腹藏遺物:보물 992), 파계사 영산회상도(靈山會上圖:보물 1214), 영조대왕의 도포(道袍:중요민속자료 220) 등이 있다.

시지정문화재로는 팔공산 마애약사여래좌상(八公山磨崖藥師如來坐像:대구유형문화재 3)과 북지장사 삼층석탑(대구유형문화재 6), 파계사 원통전(圓通殿:대구유형문화재 7), 성재서당(盛才書堂:대구유형문화재 9), 동화사 대웅전(대구유형문화재 10), 동화사 극락전(極樂殿:대구유형문화재 11), 동화사 부도군(浮屠群:대구유형문화재 12), 동화사 염불암 마애여래좌상 및 보살좌상(대구유형문화재 14), 북지장사 석조지장보살좌상(石造地蔣菩薩坐像:대구유형문화재 15), 부인사 석등(夫人寺石燈:대구유형문화재 16), 부인사 서탑(西塔:대구유형문화재 17), 신무동(新武洞) 마애불좌상(대구유형문화재 18), 동화사 염불암 청석탑(靑石塔:대구유형문화재 19), 팔공산 동봉 석조약사여래입상(대구유형문화재 20), 신무동 삼성암지(三省庵址) 마애약사여래입상(대구유형문화재 21), 송정동(松亭洞) 석불입상(대구유형문화재 22), 부인사 부도(대구유형문화재 28), 신숭겸장군 유적(申崇謙將軍遺蹟:대구기념물 1), 부인사지(대구기념물 3), 용수동 당산(龍水洞堂山:대구민속자료 4) 등이 있다.

또한 문화재자료로 파계사 설선당(設禪堂:대구문화재자료 7)과 파계사 산령각(山靈閣:대구문화재자료 8), 파계사 적묵당(寂默堂:대구문화재자료 9), 파계사 진동루(鎭洞樓:대구문화재자료 10), 파계사 기영각(祈永閣:대구문화재자료 11), 동화사 수마제전(須摩提殿:대구문화재자료 16), 수릉 향탄금계 표석(綏陵香炭禁界標石:대구문화재자료 21), 부인사 일명암지(逸名庵址) 석등(대구문화재자료 22), 사명당대장 진영(泗溟堂大將眞影:대구문화재자료 26), 수릉 봉산계 표석(封山界標石:대구문화재자료 33), 부도암(浮屠庵) 부도(대구문화재자료 34) 등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