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마네스크 건축

로마네스크 건축

[ Romanesque Architecture ]

로마네스크 성당의 기본 구조도

로마네스크 성당의 기본 구조도

종교 건축을 중심으로 발전하였다. 외부는 웅장한 규모와 낮고 수평적인 건축 구조로 지어졌으며 내부는 어두우면서도 신비로운 분위기가 특징적이다. 건축적 요소는 석조로 된 반원형 천장과 둥근 아치, 교차 볼트가 도입되었다. 11세기 말에서 12세기에 걸쳐 이탈리아 롬바르디아와 프랑스의 노르망디, 독일, 영국 등 각지에서 다수의 종교 건축이 축조되었다.

배경

로마네스크 양식의 발달은 사회 변화와 밀접한 관련이 있다. 로마제국의 붕괴 이후 혼란기를 겪던 유럽은 10세기경부터 정치·경제가 안정화되었고, 점차 봉건제가 자리 잡아갔다. 한편 여러 수도회가 빠르게 확장하며 예배 방식 등 많은 부분이 제도화, 형식화 되었다. 이러한 변화는 성지참배를 하는 순례자의 증가로 이어졌고, 많은 사제와 수도사, 신도, 순례자를 수용하기 위한 교회가 더 튼튼하고 큰 규모로 제작되었다. 실질적인 의미와 더불어 ‘신의 집’이라는 상징적 의미에서 교회는 불에 타지 않는 항구성을 지녀야 했는데, 이러한 요구로 기존의 목조 양식을 대신하여 석조로 제작되었다. 돌은 나무보다 튼튼하지만 무게가 많이 나갔기 때문에 이를 해결하고자 로마네스크 양식의 다양한 건축적 특색이 생겨났다.

주요 특징

이전 양식으로부터의 가장 큰 변화는 11세기 초까지 목조였던 바실리카식 평면 구조에서 큰 규모의 십자형 석조 구조로 바뀌었다는 점이다. 내부는 둥근 아치와 원통형, 교차형 볼트를 사용하여 천정을 높여 제작하였다. 고대 로마 건축에서도 볼 수 있었던 반원 아치는 원통형 석조 볼트와 더불어 창문이나 입구 기둥 사이의 들보 또는 처마 밑에 도입되었다.

로마네스크 건축 본문 이미지 1

로마네스크 건축가들의 가장 큰 과제는 아치의 집합체라 할 수 있는 볼트와 그 중량을 비스듬히, 혹은 수직으로 받는 측벽(側壁)을 설계하는 것이었다. 가장 단순한 방법은 측벽을 두껍게 만들어 압력을 버티게 하는 것이었지만 벽이 두꺼워지면 창을 작게 만들어야 했기에 경사진 횡압력의 방향을 가급적 낮추거나 석조 천장의 중량을 측벽의 일정한 부분에만 집중되도록 하고, 외부에서 일종의 부벽(副壁)을 덧대 건축의 안전도를 높이는 방법으로 건축하였다. 횡압력의 방향을 낮추는 방법으로는 첨두 볼트의 설계로, 또 중량의 한 지점으로의 집중은 교차 볼트의 구축으로 실현되었다. 창문의 제한적 설계로 대부분의 로마네스크 교회당은 내부가 어둡고 장중한 분위기를 자아내며 지붕은 주로 삼각형의 지붕으로 지어졌다.

로마네스크 건축 본문 이미지 2

로마네스크 건축 양식은 10세기 말 이후 유럽 전역으로 퍼지며 1,100년을 전후하여 전성기를 이루었다. 지역에 따라 조금씩 변모하여 지어졌으나 큰 벽면과 작은 창문, 중량감이 있는 외관 분위기는 유사하게 건축되었다. 독일의 ‘황제의 돔’이라고 일컫는 슈파이어대성당보름스대성당, 밤베르크대성당 등은 내부가 좌우 기둥에 의해 3개열로 구분되는 3랑식(三廊式) 구성으로 이중내진형식(二重內陣形式)으로 지어졌고, 이탈리아에서는 주로 평활한 정면을 갖춘 3랑식·5랑식의 바실리카 형식으로 제작되었다. 외관은 토스카나파 풍(風)으로 지어진 피사대성당 등을 제외하면 일반적으로 단순하고 소박하며 내부는 열주나 아케이드 등의 건축적 효과가 더해져 어두운 공간에 신비로운 분위기를 자아내도록 설계되었다.

로마네스크 시기에는 수도원의 건축 또한 활발하여 정사각형의 회랑을 중심으로 교회와 기타 부속 건축물을 갖춘 수도원이 프랑스 남부, 에스파냐 북부, 독일 남부, 이탈리아 등지에 많이 지어졌다. 대표적으로 프랑스의 클뤼니수도원과 퐁트네의 시토회수도원 등이 있다.

이후 영향

이후 기술적 발전을 거듭하며 높은 첨탑의 고딕 건축 양식으로 이어졌다. 17세기 영국에서는 로마네스크 양식을 재해석한 로마네스크 리바이벌(Romanesque Revival) 양식이 유행하며 18세기 초 교회 건축에도 적용되었으며 19세기 초에는 독일에서 로마네스크 양식에 영향을 받은 둥근 아치 형식이 유행하였다. 비슷한 시기 미국에서는 로마네스크 리바이벌 양식의 건축물이 일반 건물은 물론 하버드 대학을 비롯한 대학 캠퍼스 건물에 도입되어 지어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