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BS

KBS

[ Korean Broadcasting System , 韓國放送 ]

요약 1947년 처음으로 라디오 방송을 개국한 공영방송사로서 방송법 제4장에 따라서 설립한 공영방송사이다.
KBS

KBS

개국일 1947년
구분 공영방송법인
목표 인간의 존엄성 회복, 공정 보도와 민주여론의 형성, 건전한 정서문화의 창출, 민족공동체 의식의 함양, 국제화 시대의 선진성 구현
방송구역 TV 및 라디오 전국방송, 해외방송
지역국/자회사 KBS미디어, KBS비즈니스, KBS 아트비전

한국방송공사라고도 한다. 1927년 사단법인 경성(京城)방송국(호출부호: JODK)으로 라디오 방송을 시작한 한국방송은 1947년 국영 서울중앙방송국(호출부호: HLKA)으로 다시 출범하였다. 1961년 서울 국제방송국과 서울 텔레비전방송국을 개국했다. 1968년 3개 방송국을 통합하여 중앙방송국으로 다시 개편하고, 1973년 공영방송인 한국방송공사(KBS)로 출범하였다. 1976년 여의도에 본사를 건립하였다.

1980년 언론통폐합조치에 따라 동양방송·동아방송 등 5개 민간방송을 인수하였으며, 같은 해 컬러텔레비전 방송과 교육방송(UHF)을 시작했다. 1986년 시청료납부 거부운동으로 한때 시련을 겪기도 하였으나, 1986년 서울아시안게임과 1988년 서울올림픽의 주관방송사가 되었다. 1990년 개정된 새 방송법에 따라서 1991년 제3TV·제2라디오·교육 FM·라디오 서울을 분리하였다. 국내외 방송의 효율적 실시, 방송의 전국적 보급, 방송문화의 향상을 목적으로 정부가 출자한 특수법인이다.

2012년 기준 TV 방송은 제1TV·제2TV, 위성방송 KBS WORLD 등 3개 채널, 라디오 방송은 제1라디오·제2라디오·제3라디오·제1FM·제2FM·한민족방송·국제방송 등 7개 채널, DMB 방송은 U KBS 스타, U KBS 하트, U KBS 뮤직, U KBS 클로버 등 4개 채널을 운영하고 있다.

재원은 전파수신료·광고료·정부보조금·기타 사업수입 등인데 수상기 소지자는 대통령령에 따라 등록하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제1TV와 제1라디오에는 1994년 10월 이후 광고를 하지 않고 있다. 라디오·텔레비전·해외방송 실시는 단일기관이 운용하는 방송의 계통수로 보아 세계적인 규모이다.

방송문화의 향상을 위한 조사연구와 요원의 훈련을 위하여 방송연구원과 기술연구소가 있으며, 전속단체로 KBS 교향악단, KBS 국악관현악단 등이 있다. 그 밖에 KBS미디어·KBS비즈니스·KBS 아트비전 등의 계열사가 있다. 본사는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여의공원로 13(여의도동 18)에 있다.

카테고리

  • > > >
  • > >
  • > > >

관련동영상

KBS 한국방송공사 여의도에 본사를 둔 공영방송사 1968년 서울중앙방송국, 서울국제방송국, 서울텔레비전방송국을 통합하여 중앙방송국이 설립하고, 1973년 공영방송인 한국방송공사(KBS)로 출범하였다. 1976년 여의도에 본사를 건립하였다. KBS 한국방송공사는 공기업으로 공영방송을 하는 곳으로 방송사 건물은 1974년 4월 착공하여 1976년 11월 1일 준공된 본관건물은 지하1층, 지상7층 연건평 34,000평의 규모로 준공되었다.  방송국에는 TV스튜디오, 라디오스튜디오 등 최신 방송설비를 갖추고 있다. 방송국 내부에는 1660석 규모의 KBS홀이 있는데 종합공연장으로 가변식 무대로 다양한 방송행사가 열린다. 출처: doopedi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