척준경

척준경

[ 拓俊京 ]

요약 고려시대 무신. 이자겸과 함께 인종을 폐위하고자 대궐에 침입했다 왕의 권유로 뜻을 바꾸어 자겸을 잡아 귀양 보내고 공신이 되었다. 이후 세도를 마구 부리다가 탄핵을 받고 유배되었으며 복권되었으나 곧 죽었다.
출생-사망 ? ~ 1144
본관 곡산(谷山)
활동분야 군사

곡산척씨(谷山拓氏)의 시조. 집이 가난하여 학문을 닦지 못하고 무뢰배들과 교유하였다. 뒤에 계림공(雞林公:후에 숙종)의 종자(從者)로 있다가 추밀원 별가(樞密院別駕)가 되었다.
1104년(숙종 9) 이래 동여진(東女眞) 정벌에 여러 번 참가하여 승전, 큰 공을 세웠으며, 1117년 급사중(給事中)으로서 서북면 병마부사(西北面兵馬副使), 1122년 위위경 직문하성(衛尉卿直門下省), 1123년 이부상서 참지정사(吏部尙書參知政事), 1124년 개부의동삼사 검교사도 수사공 중서시랑평장사(開府儀同三司檢校司徒守司空中書侍郎平章事)가 되었다.

1126년(인종 4) 이자겸(李資謙)과 함께 인종을 폐위하고자 군사를 이끌고 대궐을 침입했다가 왕의 권유로 뜻을 바꾸어, 자겸을 잡아 귀양보내고 그 공으로 추충정국협모동덕위사공신(推忠靖國協謀同德衛社功臣)이 되었다. 이후 권세를 마구 휘두르다가 1127년 좌정언(左正言) 정지상(鄭知常)의 탄핵을 받고 암타도(巖墮島)에 유배되었으며, 이듬해에 곡주(谷州)로 이배되었다. 1130년 죄는 있지만 공도 적지 않다 하여 처자(妻子)에게 직전(職田)을 돌려주었고, 1144년(인종 22) 복권되어 조봉대부검교호부상서(朝奉大夫檢校戶部尙書)에 기용되었으나 곧 죽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