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스터

에스터

[ ester ]

요약 알코올 또는 페놀이 유기산(有機酸) 또는 무기산(無機酸)과 반응하여 물을 잃고 축합하여 생긴 화합물의 총칭이다. 산 또는 알칼리에 의해 가수분해되어 산과 알코올이 된다.

사용되는 유기산에는 카복시산이 대표적이며, 좁은 의미에서 에스터라고 할 때에는 카복실산에스터만을 의미하는 경우가 많다. 또 사용되는 무기산에는 황산·염소·질소 등을 함유한 산기(酸基)가 수소와 결합한 산(酸)을 말한다. 이를 테면,

 에스터 본문 이미지 1
카복실산   알코올         카복실산에스터
 에스터 본문 이미지 2
설폰산     알코올         설폰산에스터
 에스터 본문 이미지 3
무기산 알코올        무기산에스터


등을 뜻하며, 유지(油脂)는 고급 지방산글리세롤의 에스터이다.

① 카복시산에스터에 포함되는 -COOH기는 알콕실 -OR와 카보닐 >CO가 결합한 것으로서 알콕시카보닐이라고 한다. 카복실산에 과잉의 알코올을 넣고 황산과 같은 강한 산의 존재하에서 탈수·축합시켜 만든다.

② 무기산에스터: 유기산에스터에 대응되는 것으로 황산에스터·질산에스터·인산에스터 등이 있다. 황산에스터는 황산의 수소원자가 알킬기로 치환된 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수소가 하나만 치환된 산성에스터 RSO4H와 2개의 수소원자 모두가 치환된 중성에스터 R2SO4가 있다. 인산에스터의 경우도 마찬가지이다. 저급(低級) 지방산과 저위알코올과의 에스터는 대부분 방향(芳香)이 있는 무색 액체로서, 과일 에센스의 원료나 유기물의 용매(溶媒)로서 사용되는 것이 많다.

에스터는 산 또는 알칼리에 의해 가수분해되어 산과 알코올이 되는데, 특히 카복실산과 알칼리를 생성하는 가수분해를 비누화라고 한다. 에스터의 명명법은 산의 이름 뒤에 알코올의 골격인 알킬기(基)의 이름을 붙이는 방법을 사용하는데, 예를 들면 아세트산 CH3COOH과 에탄올 CH3CH2OH에서 물 1분자가 떨어져 나가서 만들어지는 에스터는 아세트산에틸이라고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