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주 신륵사 보제존자석종

여주 신륵사 보제존자석종

[ Bell-shaped Stupa of Buddhist Monk Boje at Silleuksa Temple, Yeoju , 驪州 神勒寺 普濟尊者石鍾 ]

요약 경기도 여주시 천송동 신륵사에 있는 고려시대 승탑. 1963년 1월 21일 보물로 지정되었다.
여주 신륵사 보제존자석종

여주 신륵사 보제존자석종

지정종목 보물
지정일 1963년 1월 21일
소장 여주 신륵사
관리단체 여주 신륵사
소재지 경기도 여주시 천송동 산113-1, 여주 신륵사
시대 고려시대
종류/분류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 불교 / 탑
크기 높이 1.9m

경기도 여주시 천송동 신륵사 서북쪽 언덕에 있는 고려시대 승려 보제존자 혜근(惠勤)의 승탑(僧塔)이다. 승탑(부도)은 승려의 사리나 유골을 봉안하는 묘탑으로, 고승이 입적한 후 그의 죽음을 추모하고 존경심을 나타내기 위해 탑비(부도비)와 함께 세워졌다. 승탑의 건립연대는 여주 신륵사 보제존자석종비가 세워진 1379년(고려 우왕 5) 경에 세워진 것으로 추정된다. 

보제존자 혜근

혜근(惠勤)은 1320년(고려 충숙왕 7)에 태어나 1376년에 입적한 고려시대 승려이다. 1339년(고려 충숙왕 복위 7)에 출가하여 묘적암(妙寂庵), 회암사(檜巖寺) 등에서 불법(佛法)을 익혔다. 1347년(고려 충목왕 3) 원나라의 연경(燕京, 현 베이징)으로 유학을 떠나 인도의 승려 지공(指空)의 밑에서 지도를 받고, 이후 중국의 여러 지역을 돌아다며 법론(法論)을 벌이다가, 원나라 혜종(惠宗)의 명에 의해 1355년 광제선사(廣濟禪寺)의 주지로 임명되었다. 1358년(고려 공민왕 7)에 귀국하여 오대산 상두암(象頭庵)에 머물다가 1361년(고려 공민왕 10) 왕과 태후의 청으로 신광사(神光寺)에 머물며 후학을 지도하였다. 이후 공부선(功夫選)의 시관(試官)이 되어 과거 시험을 거행하였고, 1371년에는 왕사(王師) 대조계종사(大曹溪宗師) 선교도총섭(禪敎都摠攝) 근수본지중흥조풍복국우세보제존자(勤修本智重興祖風福國祐世普濟尊者)로 봉해졌다. 이후 송광사에 머물다가 회암사의 주지가 되었으며, 1376년 왕의 명으로 영원사(塋源寺)로 옮겨 가던 중 여주 신륵사(神勒寺)에서 입적하였다. 혜근이 입적하자, 우왕은 혜근에게 '선각(禪覺)'이라는 시호(諡號)를 내리고, 혜근의 승탑과 탑비를 짓도록 하였다. 혜근의 승탑은 여주 신륵사 보제존자석종 이외에도 원주 영전사지 보제존자탑나옹선사 부도 및 석등 등이 전해지고 있다. 

승탑의 구성과 양식

화강암으로 만들어진 석종형(石鐘形) 승탑이다. 높이는 1.9m이며, 기단 위에 탑신 받침을 두고 그 위에 탑신을 올렸다.

기단은 단층이며, 돌을 쌓아 널찍하게 만들었다. 기단의 4면 중 3면(앞면과 양 측면)에는 계단을 설치했다. 기단 위에는 얇고 넓적한 박석을 깔고 그 중앙에 2매의 판석을 얹어 마련한 탑신 받침이 자리하고 있다.

탑신은 승려의 사리를 보관하는 곳으로, 여주 신륵사 보제존자석종의 탑신은 범종 모양으로 제작되었다. 탑신 표면에는 아무런 장식이 없으며, 탑신 위에는 불꽃무늬를 새긴 커다란 보주(寶珠)가 얹혀 있다.

가치 및 의의

여주 신륵사 보제존자석종은 고려시대 왕사로 추대되었던 혜근의 탑비라는 점에서 역사적 의의를 갖는다. 또한 조선시대에 승탑의 주류를 이루게 되는 석종형 승탑의 고려 말기 양식을 보여주는 작품으로 우리나라의 석종형 승탑 문화의 기원과 고려시대 후기 승탑 양식을 연구하는 데 중요한 사료로 평가된다. 이러한 역사적·학술적 가치를 인정받아 1963년 1월 21일 보물로 지정되었다.

카테고리

  • > > >
  • > > >
  • > > >

관련동영상

여주 신륵사 보제존자석종 경기도 여주시에 있는 고려시대 석종 보물 제228호 경기도 여주시 천송동의 신륵사에 있는 고려시대 승려 나옹의 묘탑으로 신륵사 뒷편에 자리하고 있다. 높이 1.9m이며 1379년(우왕5) 세워진 고려 말기 석종형 부도형식의 좋은 예로 평가된다. 탑신은 원래 종형에서 퇴화되어 위가 잘라진 포탄모양이며 표면에는 장식이 없고 탑신의 상하는 수평을 이룬다. 탑 꼭대기는 화염무늬 보주가 올려졌고 석종을 중심으로 석등, 탑비와 나란히 위치한다. 나옹은 혜근(慧勤) 보제존자(普濟尊者)라고도 불리우는 고려 말기의 명승으로 양주 회암사의 주지승이었다가 밀양으로 가던 중 신륵사에서 입적하면서 이곳에 사리탑이 세워졌다고 전해진다. 출처: doopedia